고등학교에서 과학 선택 과목의 수, 심화(Ⅱ) 과목 비율, 교과 다양성이 이과 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성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고용패널 2004-2007년 자료 중 343명의 이과 고등학생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과학에 대한 태도에 대한 잠재 성장 모형을 적합하였다. 모형 적합 결과, 과학에 대한 태도의 무성장 모형보다 성장 모형이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 변수가 없는 무조건 성장모형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의 초기치와 변화량의 분산이 유의미하였으므로, 여기에 학생 개인 수준에서 이수한 과학 선택 과목의 수, 심화(Ⅱ) 과목의 비율, 교과 다양성, 그리고 중학교 3학년 때의 성적 백분위를 통제 변수로 투입하였다. 이러한 조건 성장모형에서 중학교...
Saved in:
Published in | 과학교육연구지 Vol. 46; no. 1; pp. 80 - 92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30.04.2022
과학교육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3944 2733-4074 |
DOI | 10.21796/jse.2022.46.1.80 |
Cover
Summary: | 한국교육고용패널 2004-2007년 자료 중 343명의 이과 고등학생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과학에 대한 태도에 대한 잠재 성장 모형을 적합하였다. 모형 적합 결과, 과학에 대한 태도의 무성장 모형보다 성장 모형이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 변수가 없는 무조건 성장모형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의 초기치와 변화량의 분산이 유의미하였으므로, 여기에 학생 개인 수준에서 이수한 과학 선택 과목의 수, 심화(Ⅱ) 과목의 비율, 교과 다양성, 그리고 중학교 3학년 때의 성적 백분위를 통제 변수로 투입하였다. 이러한 조건 성장모형에서 중학교 3학년 때의 성적 백분위는 과학에 대한 태도 초기치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직접 효과가 있었고, 과학 심화 과목의 비율과 교과 다양성이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량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직접 효과가 있었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이 고교학점제를 대비하여 ‘일반선택’ 계열에서는 교과 지식의 구조를 견지한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교과를 제시하고, ‘융합선택’ 계열에서는 해당교과들의 구조가 어느 정도 유지된 통합형 교과를 개발하며, ‘진로선택’ 계열에서는 차별화된 심화성과 엄격성을 지닌 교과를 제공하는 방향을 제안하고 지지하였다.
We fitted latent growth models of attitude towards science using the Korea Education & Employment Panel 2004-2007 data with 343 high school students. The growth model show better fit indices compared to the no growth model. The intercept and slope showed significant variances, and thus, we added control variables of the number, ratio of advanced courses, and variety in science elective subjects, and the achievement percentile for middle school. In the conditional growth model, the previous achievement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intercept and the ratio of the advanced courses and variety of science subjects show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slope. Based on the results, it supports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ar that high school credit system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basic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credits in ‘general electives’, various integrated subjects in ‘converged electives’, and highly advanced subjects in ‘career electives.’ |
---|---|
Bibliography: |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ISTI1.1003/JNL.JAKO202214437221867 http://dx.doi.org/10.21796/jse.2022.46.1.80 |
ISSN: | 1225-3944 2733-4074 |
DOI: | 10.21796/jse.2022.46.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