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설계에서 미술 재현 특성 연구
조경가들은 모든 예술행위에서 설계 단서를 찾아 왔으며 다른 예술 매체와 표현방식을 탐구하였다. 특히 미술은 조경가에게 설계 감각과 재현의 형태를 제시하였으며 회화는 경관 조성에 풍부한 자료원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 분야의 시대적 예술 상황과 조경공간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함으로써 조경설계의 재현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고대 중국 산수화에서 모더니즘 작품까지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상적 자연을 실현하고자 한 중국과 영국의 정원은 중국 산수화와 영국 풍경화의 회화적 이상을 추구하였다. 중...
Saved in:
|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18; no. 4; pp. 161 - 176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1.08.2017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8635 2713-5993 |
Cover
| Summary: | 조경가들은 모든 예술행위에서 설계 단서를 찾아 왔으며 다른 예술 매체와 표현방식을 탐구하였다. 특히 미술은 조경가에게 설계 감각과 재현의 형태를 제시하였으며 회화는 경관 조성에 풍부한 자료원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 분야의 시대적 예술 상황과 조경공간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함으로써 조경설계의 재현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고대 중국 산수화에서 모더니즘 작품까지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상적 자연을 실현하고자 한 중국과 영국의 정원은 중국 산수화와 영국 풍경화의 회화적 이상을 추구하였다. 중국정원은 취경적 자연미를 추구하고 영국정원은 픽춰레스크(picturespue)를 중심개념으로 그림같은 정원을 만들고자 하였다. 2) 큐비즘과 미니멀리즘으로 특징되는 모더니즘 예술의 영향은 조경설계에서 추상적 공간 특성을 나타나게 하였다. 단일한 한 지점에서 다양한 국면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큐비즘 회화의 공간개념은 조경가에 많은 영감을 주었으나 2차원의 그림이 3차원의 조경공간에 적절하게 표현되지는 못 하였다. 20세기 중후반 물체의 본질적 환원성을 강조한 미니멀리즘과 달리 조경의 미니멀리즘은 미니멀리스트들이 갤러리 공간을 조절하기 위해 오브제를 이용하듯이 거대한 환경 속에서 심미적이고도 의미를 가지는 공간예술을 추구하였다. 3) 모더니즘 시대의 기술문명에 대한 맹신으로 인해 1960년대 후반 자연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회복되었다. 물질로서 예술의 부정 경향과 반문명적 문화현상의 혼합으로 탄생한 대지예술은 조경에서 장소의 역사와 특성을 존중하고, 자연과 인간 문화, 환경과 예술의 대화를 풍부하게 이끌어내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적 통찰과 시대적 예술 교감을 강조하는 시대적 조류를 감안할 때 설계 영감의 모티브로 미술 작품을 조경 작품과의 관계 속에서 해석하고 상호 연관성을 조감해 본 것이 의의라 할 수 있다.
Landscape architects have been searching for a design motif in all artistic activities and exploring forms of various art and expression. Especially, the fine arts have given a sense of design and a form of representation to landscape architects. Paintings served as abundant resources for making landsca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design by grasp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situation of the fine arts and a landscape architecture-designed spa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rom Chinese ancient landscape paintings to modernism wor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Chinese and English gardens realizing idealistic nature sought the painting ideal of Chinese and British landscape painting. Chinese gardens pursued a natural beauty of selecting landscape. English gardens sought to create a garden like a painting with the concept of `picturesque.` 2) The influence of Modernism art characterized by Cubism and Minimalism led to abstract spatial features in landscape design. The space concept of Cubism paintings which show images of various phases at a single point gave a lot of inspiration to landscape architects. However, a two-dimensional painting could not be appropriately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landscape architect-designed space. Unlike Minimalism that emphasizes the essential reduction of objects in the middle and late 20th century, Minimalism of landscaping pursued aesthetic and meaningful space arts in an enormous environment of landscape just like using objects by minimalists to control their gallery space. 3) In the late 1960s, interests in nature and the environment were recovered due to the blind faith in technological civilization in the modernist era. The land art emerged to mix both tendency to deny art as a material and anti-civilized cultural phenomenon. It respected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place in landscape architecture. It had also led to abundant dialogue between nature and human culture, environment and art in landscape desig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interpret and to overlook relationship and interconnectivity between landscape architect-designed works and art works as a motif of design inspiration considering a trend that emphasizes various cultural insights and periodical arts sympathy. |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35&idx=844 |
| ISSN: | 1598-8635 2713-59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