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패션쇼의 헤테로토피아적 특성 -헬싱키 패션위크를 중심으로
팬데믹 상황에 의한 패션산업 디지털화는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적인 움직임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패션산업 변화의 미래 향방에 대한 담론은 푸코의 헤테로토피아의 개념과도 연결된다. 이에 본 연구는 푸코의 유토피아적 몸, 헤테로토피아 간 관계성에 주목하여 전면 디지털 가상패션쇼로 진행한 헬싱키 패션위크의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패션 현상의 해석을 위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함에 그 연구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헤테로토피아와 유토피아적 몸의 개념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헤테로토피아 공간 특성을 도출하여 범주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디지털...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2; no. 2; pp. 677 - 694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2.2.47 |
Cover
Summary: | 팬데믹 상황에 의한 패션산업 디지털화는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적인 움직임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패션산업 변화의 미래 향방에 대한 담론은 푸코의 헤테로토피아의 개념과도 연결된다. 이에 본 연구는 푸코의 유토피아적 몸, 헤테로토피아 간 관계성에 주목하여 전면 디지털 가상패션쇼로 진행한 헬싱키 패션위크의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패션 현상의 해석을 위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함에 그 연구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헤테로토피아와 유토피아적 몸의 개념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헤테로토피아 공간 특성을 도출하여 범주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디지털 패션쇼에서 나타나는 범주별 사례를 분석하였다. 디지털 패션쇼를 몸, 옷, 공간으로 분석하면, 1)아바타로서의 몸의 존재는 유토피아를 실현하고자 하는 주체인 동시에 패션쇼 안에서 가시화되거나 디지털 패션을 구매하여 착용함으로써 다른 가상공간 안에 표현될 때 헤테로토피아로서 존재한다. 2)디지털 패션은 지속가능성을 구현하는 동시에 사회적 평등, 집단적 협력이라는 유토피아적 표상을 새롭게 제시하는 대안의 공간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를 구현한다. 3)디지털 빌리지는 누구와도 교류할 수 있으나 사실상 누구와도 만날 수 없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헤테로토피아 개념에 맞닿아 있으며, 사용자가 매체를 통해 접속하는 순간 디지털 빌리지는 헤테로토피아화된다. 종합적으로 살펴본 디지털 패션쇼의 헤테로토피아적 특성은, 1)몸과 옷은 유토피아적 주체이자 자연이라는 헤테로토피아와의 관계에서 치유, 정화하며 상호작용하는 존재로서 이미지가 표출된다. 2)양립 불가능한 다양한 이미지와 스타일을 복합적으로 배치하여 유토피아적 몸과 헤테로토피아를 건설하려는 유희적 이미지를 보여준다. 3)현시대와 패션산업에 대한 이의제기로서 자연 재해와 환경문제에의 메시지 전달은 가상공간에서 환상과 보정의 기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 디지털 패션 연구에 대한 좀 더 다양한 형식과 태도를 다루는 후속 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The digitalization of the fashion industry by the pandemic is bringing innovative movements throughout the industry. This discourse on the future direction of the fashion industry change is connected with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interpretation of fashion phenomena by applying the concept of heterotopia to the analysis of Helsinki Fashion Week, which was conducted entirely as a digital virtual fashion show. This study categorized heterotopia spatial characteristics through literature studies on the concept of heterotopia and utopian body. Based on this, cases were analyzed by category appearing in digital fashion shows. Analyzing the digital fashion show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lothes, and space is as follows. 1)The existence of the body as an avatar is the subject who wants to realize utopia, and exists as a heterotopia when visualized in a fashion show or a virtual space by purchasing and wearing digital fashion. 2)Digital fashion embodies sustainability, and heterotopia as an alternative space that newly presents the utopian representation of social equality and cooperation. 3)Digital Village is heterotopia in that it is a space where you can interact with anyone, but you cannot meet anyone. The moment a user connects through the medium, the digital village becomes heterotopia. Through this, the heterotopia characteristics of digital fashion shows are expressed as 1)the body and clothing are utopian subjects and as healing, purifying and interacting beings in the relationship with heterotopia of nature. 2)It shows humorous images of trying to build a utopian body and heterotopia by placing various incompatible images and styles in a combination. 3)As an objection to the current era and the fashion industry, the message delivery of natural disasters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digital virtual space serves as fantasy and compensation.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urther studies on more diverse forms and attitudes toward digital fashion show.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59&idx=1857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2.2.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