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사회적 자본이 기후변화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에서는 거시적 차원에서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이 기후변화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 22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엔트로피 기법으로 기후변화 취약성 지수를 산출하여 공간 분포에 따라 기후변화 취약성 수준에 편차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지역 수준의 사회적 자본이 기후변화 취약성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사회적 자본 유형 가운데 이웃 네트워크 변수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주민들의 사회...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환경정책 Vol. 29; no. 1; pp. 183 - 210
Main Authors 리금강, Jingang Li, 홍철, Zhe Hong, 윤순진, Sun-jin Y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환경연구원 30.03.2021
한국환경정책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35X
2714-0601
DOI10.15301/jepa.2021.29.1.18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에서는 거시적 차원에서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이 기후변화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 22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엔트로피 기법으로 기후변화 취약성 지수를 산출하여 공간 분포에 따라 기후변화 취약성 수준에 편차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지역 수준의 사회적 자본이 기후변화 취약성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사회적 자본 유형 가운데 이웃 네트워크 변수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주민들의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장소 기반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이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229 cities and counties in Korea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s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on a macro level. We initially used the entropy weight method to evaluate the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then subsequently applied a multiple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large deviation in the level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which depends on spatial distribution. They also show that local social capital plays a positive role for reducing climate change risks. In particular, the neighboring network variables have the largest impact among social capital types in reducing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establish and implement a location-based climate change response strategy around local residents’ social capital.
Bibliography:Korea Environment Institute
ISSN:1598-835X
2714-0601
DOI:10.15301/jepa.2021.29.1.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