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과학에서 서술형 평가의 실태 분석: 문항유형, 단원, 평가목표를 중심으로

최근 들어 학생 평가 방법에서 서술형 평가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왔다.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출제해 온 서술형 평가문항의 실태와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지역의 중학교 7개 학교에서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정기고사에 출제된 서술형 문항 300개를 수집하여 문항 유형과 단원별 문항 분포를 분석하고, 문항에 관련된 성취기준의 교육목표와 평가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에 따라 분석하여 비교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공통된 단원에서 서술형 문항을 출제하는 경향을 보이며, 단원 및 성취기준별로 출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과학교육연구지 Vol. 42; no. 2; pp. 198 - 213
Main Authors 노은실, Eun Sill Noh, 김용진, Yong-ji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30.08.2018
과학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3944
2733-4074
DOI10.21796/jse.2018.42.2.19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최근 들어 학생 평가 방법에서 서술형 평가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왔다.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출제해 온 서술형 평가문항의 실태와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지역의 중학교 7개 학교에서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정기고사에 출제된 서술형 문항 300개를 수집하여 문항 유형과 단원별 문항 분포를 분석하고, 문항에 관련된 성취기준의 교육목표와 평가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에 따라 분석하여 비교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공통된 단원에서 서술형 문항을 출제하는 경향을 보이며, 단원 및 성취기준별로 출제 빈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문항 유형으로는 서술형이 65%에 불과하였으며 나머지는 단답형이나 완성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성취기준에서의 교육목표와 문항에서의 평가목표 사이에 일치하는 비율이 40.3%에 불과하였다. 서술형 문항의 출제교사 27명을 면담한 결과, 서술형 문항의 개발 능력 부족과 채점에서의 어려움이 올바른 서술형평가의 주요 장애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가 에 대한 체계적 연수를 통해 서술형 평가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In recent years, descriptive evaluation has been gaining importance at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descriptive evaluation items which have been made by school teachers. 300 items for regular examinations are collected from 7 middle schools (grades 1 through 3) in Gyeongnam Province. Distribution and types of items are examined to compare educational objectives of standard achievements and those of evaluation according to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exist a majority of shared subject units for descriptive evaluation. Huge difference of frequency is also found among subject units and standard achievements. Less than 65% of evaluation items are descriptive and the rest is simple completion or short answers. In addition, it reveals only 40.3% of agreement between educational objectives of standard achievements and those of evaluation items. The interviews with 27 teachers indicate that lack of ability to develop proper items and grading are the major obstacles. In conclusion, systematic training courses are to be provided in order to resolve issues over descriptive evaluation.
Bibliography: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ISTI1.1003/JNL.JAKO201828458594968
http://dx.doi.org/10.21796/jse.2018.42.2.198
ISSN:1225-3944
2733-4074
DOI:10.21796/jse.2018.42.2.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