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85신조 작가에게 보여지는 동양적 조형성 비평 연구
중국의 현대미술은 민중들의 민주화 요구에 대한 군의 무력 진압으로 발생한 1989년 텐안먼 사건 이후 세계 미술계의 조명을 받게 되었다. 1990년대 초부터 세계 미술계에 존재를 드러낸 중국 현대미술사에 있어서 역사적 사건으로 85신조운동을 들 수 있다. 85신조운동은 20세기 중국 현대미술사에 있어서 주요 사건으로 꼽히며, 이후 베이징 국가미술관에서 열린 <차이나/아방가르드>전(1989)을 통해 청년 예술가들은 결집하게 된다. 즉 85신조운동과 1989년 <차이나/아방가르드>전은 1990년대 초 중국의 현대미...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18; no. 6; pp. 593 - 60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1.12.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Cover
Summary: | 중국의 현대미술은 민중들의 민주화 요구에 대한 군의 무력 진압으로 발생한 1989년 텐안먼 사건 이후 세계 미술계의 조명을 받게 되었다. 1990년대 초부터 세계 미술계에 존재를 드러낸 중국 현대미술사에 있어서 역사적 사건으로 85신조운동을 들 수 있다. 85신조운동은 20세기 중국 현대미술사에 있어서 주요 사건으로 꼽히며, 이후 베이징 국가미술관에서 열린 <차이나/아방가르드>전(1989)을 통해 청년 예술가들은 결집하게 된다. 즉 85신조운동과 1989년 <차이나/아방가르드>전은 1990년대 초 중국의 현대미술이 국제무대에서 주목받게 된 중요한 역사적 전환점으로 작용한다. 이 연구는 중국 현대미술사에 있어서 큰 획을 그은 85신조운동의 주요 작가들의 작품 분석을 통해 동양적 조형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 85신조운동 대표작가인 쉬빙(Xu Bing), 구 웬다(Gu Wenda), 장 샤오강(Zhang Xiaogang), 왕광이(Wang Guangyi), 황용핑(Huang Yong-ping), 팡리준(Fang Lijun) 등 중국 현대미술의 2세대 작가 군에 속하는 작가 대상으로 1989년 북경 <차이나/아방가르드> 전 참여 이후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중국 현대미술의 전성기를 이룬 작품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1970-1980년대 자국의 격변하는 정치적·경제적 상황을 체화한 이들은 한자의 미학적 활용, 여백의 미, 환원에 대한 시각화 전략으로 동양적 조형성을 시각화하고 있었다. 즉 85신조운동 주요 작가들이 국제무대에 두각을 드러낸 예술적 원천에는 중국의 근현대화 과정 속에서의 감내한 중국작가 만의 역사적·정치적 경험이 반영된 메시지와 함께 이러한 주제와 내용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하는 동양적 조형성이 작용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동시대 중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로 성장한 중국 작가들의 예술적 원천을 동양적 조형성에서 찾고자 하는데 의미가 있다.
Contemporary Chinese art has been illuminated by the world art world since the Tiananmen incident in 1989, which was caused by the military's suppression of the democratic demands of the people. In the history of Chinese contemporary art, which has existed in the world art world since the early 1990s, 85 historical movements can be mentioned. The 85 New Wave is a major event in Chinese contemporary art history of the 20th century, and the young artists will be assembled through the China / Avantgarde Exhibition (1989) held at the Beijing National Museum of Art. In other words, the 85 New Wave and the 1989 China / Avant-garde exhibition were important historical turning points in the early 1990s when the contemporary Chinese art attracted attention in the international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riental formative ar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s of major artists of the 85 New Wave that have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Chinese contemporary art history. As a research methodology, the 85 New Wave representative artists Xu Bing, Gu Wenda, Zhang Xiaogang, Wang Guangyi, Huang Yong-ping, Fang Lijun Which is the second generation of Chinese contemporary art, is the subject of the analysis of the works of Chinese modern art from the time of Beijing < China / Avantgarde > in 1989 to the early 2000s. In the 1970s and 1980s, those embodying the changing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of their countries visualized oriental formality as a visualization strategy for the aesthetic use of Chinese characters, the beauty of margins, and the reduction. In other words, the artistic source of the 85 New Wave's major artists in the international arena is the message that reflects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experience of the Chinese artists who is enduring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China, and the oriental formative art that effectively visualizes these themes and contents. And to act as a source to build up a unique fiel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to find out the artistic source of Chinese artists who have grown up to represent contemporary Chinese contemporary art from the Oriental formality.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37&idx=917 |
ISSN: | 1598-8635 2713-59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