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테 포베라의 표현형식 연구 - 섬유적 소재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산업화로 인한 물질 만능주의적 사회, 문화가 중심이었던 1960년대 말 인간 삶의 본질을 소재의 본질적 물성 탐구를 통해 대변하였던 아르테 포베라의 표현형식을 섬유적 소재를 중심으로 조명하고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정치, 경제, 사회이념에 대한 아르테 포베라의 반모더니즘적 표현은 환경문제가 대두되는 현재 예술에서 친환경적인 소재를 대하는 인식의 움직임과 유사점이 있다고 사료되었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아르테 포베라 개념과 시대적 배경에 따른 소재의 도입과 전개에 대해 살펴보고 탈 물질적 표현과 섬유적 소재의 물성적 측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3; no. 1; pp. 229 - 243
Main Authors 안은선, An Eun S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28.02.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3.1.1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산업화로 인한 물질 만능주의적 사회, 문화가 중심이었던 1960년대 말 인간 삶의 본질을 소재의 본질적 물성 탐구를 통해 대변하였던 아르테 포베라의 표현형식을 섬유적 소재를 중심으로 조명하고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정치, 경제, 사회이념에 대한 아르테 포베라의 반모더니즘적 표현은 환경문제가 대두되는 현재 예술에서 친환경적인 소재를 대하는 인식의 움직임과 유사점이 있다고 사료되었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아르테 포베라 개념과 시대적 배경에 따른 소재의 도입과 전개에 대해 살펴보고 탈 물질적 표현과 섬유적 소재의 물성적 측면으로 분류하여 관련 문헌 자료, 학위 논문, 학술지 등에서 조사하고 고찰하였다. 결과적으로 아르테 포베라의 표현형식은 첫째, 모더니즘의 저항으로 언어를 매개로 한 탈 물질적 표현은 경계를 넘나드는 조형예술로 환원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일상소재로 흔히 접할 수 있는 것들을 예술의 소재로 편입시켰고, 섬유적 소재는 아방가르드의 반문명적이고 노마드적인 소재로 재구성, 재조합, 재활용되어 아르테 포베라의 정신적 의미를 전달하고 표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가공을 통해 섬유적 소재로 분류하였던 나무와 금속 소재는 자연적인 소재와 차갑고, 중량감 있는 물성의 인공적인 소재로 상반되는 속성을 극대화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섬유적 소재의 표현형식에 따라 현재의 사회환경적 문제에 적합한 다양한 실험적인 시도에 토대가 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 것에 의의가 있었다. 비교적 단기간의 활동이었지만 동시대의 국제적인 예술운동과 교류를 하였고, 노마드적 형식과 개념으로 구현하였다. 인간 영위만을 위한 인간 중심의 무분별한 개발은 지금의 불안정한 팬데믹의 원인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르테 포베라에서 표현된 환경 실천적인 소재를 고찰함으로써 후속 연구의 예술적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가교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expression form of Arte Povera, which represented the essence of human life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essential physical properties of materials in the late 1960s, when materialistic society and culture were centered on industrialization. This is because Arte Povera’s anti-modernist expression was considered to have similarities to the movement of perception of eco-friendly materials of art. The method of the study examined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Arte Povera and the background of the times, and classified them into de-material expressions and physical properties of fibrous materials to investigate. As a result, Arte Povera’s expression form was first expressed by reducing it to an approach to de-material concepts through language as a resistance to modernism. Second, it was confirmed commonly encountered as daily materials were incorporated into the subject of art, and that the fibrous material was reconstructed, recombined, and recycled as an anti-civilized and nomad material of Avant-garde. Third, wood and metal materials, which were classified as fabric materials through processing, became a means of maximizing contradictory properties with natural materials and artificial materials of cold and heavy physical properties. Finally, fibrous materials are a means of art cre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spirit of Arte Povera. In the form of expression, it was necessary to actively seek ways to influence methods to supplement current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art field. Since the reckless development of human activities may have been the cause of the current unstable pandemic, it is hoped that it will be a bridge that can expand the artistic domain of subsequent research by considering environmental and situational aspects.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67&idx=2069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3.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