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충수염처럼 보인 복부 방선균증 1예
방선균은 피부, 구강, 위장관 및 하부 여성 생식기에 정상균무리로 존재하며 증식속도가 느린 사상체의 형태를 한 혐기 그람 양성균이다. 방선균증은 방선균 감염에 의한 질환으로 대부분 경부 안면 감염증, 복부, 골반 감염증, 그리고 흉부 감염증의 임상 형태로 나타난다. 저자들은 급성 충수염으로 충수절제술을 받은 건강한 6세 남아에서 수술 후 조직검사에서 복부 방선균증을 진단하고 장기간 항생제 치료한 1예를 경험하고 보고하는 바이다. 복부 방선균증은 소아에서는 드문 질환이고 증상이 비특이적이며 균 동정을 위한 배양검사가 까다로운 점이 있...
        Saved in:
      
    
          | Published in | Pediatric infection & vaccine Vol. 25; no. 3; pp. 170 - 175 | 
|---|---|
| Main Authors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소아감염학회
    
        30.12.2018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384-1079 2384-1087  | 
| DOI | 10.14776/piv.2018.25.e14 | 
Cover
| Summary: | 방선균은 피부, 구강, 위장관 및 하부 여성 생식기에 정상균무리로 존재하며 증식속도가 느린 사상체의 형태를 한 혐기 그람 양성균이다. 방선균증은 방선균 감염에 의한 질환으로 대부분 경부 안면 감염증, 복부, 골반 감염증, 그리고 흉부 감염증의 임상 형태로 나타난다. 저자들은 급성 충수염으로 충수절제술을 받은 건강한 6세 남아에서 수술 후 조직검사에서 복부 방선균증을 진단하고 장기간 항생제 치료한 1예를 경험하고 보고하는 바이다. 복부 방선균증은 소아에서는 드문 질환이고 증상이 비특이적이며 균 동정을 위한 배양검사가 까다로운 점이 있어 초기 진단이 잘 되지 않고 주로 임상 검체에서 특징적인 조직소견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통해 방선균의 특징을 이해하고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정상균무리가 체내로 침입할 수 있는 선행 요인 등을 가진 경우 감별진단에 복부 방선균증도 염두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Actinomyces are anaerobic, Gram-positive bacteria that are part of the endogenous flora of mucous membranes in humans. Infection caused by these bacteria is termed actinomycosis. The 3 most common types of actinomycosis are cervicofacial, abdominopelvic, and pulmonary. A previously healthy 6-year-old boy presented with the emergency room with fever, vomiting, and abdominal pain and initially diagnosed with acute appendicitis. Exploratory laparoscopy was done. Histologic finding demonstrated acute gangrenous appendicitis complicated by perforation and sulfur granules compatible with actinomycosis. Subsequently, he was diagnosed with abdominal actinomycosis and received long-term antibiotic therapy. Abdominal actinomycosis is uncommon in children and difficult to diagnose because of its nonspecific symptoms and of difficulties in growing Actinomyces in the clinical setting. It is necessary to include abdominal actinomycosis as a differential diagnosis of children presenting with abdominal pain. | 
|---|---|
| Bibliography: |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KISTI1.1003/JNL.JAKO201809862999544 https://doi.org/10.14776/piv.2018.25.e14  | 
| ISSN: | 2384-1079 2384-1087  | 
| DOI: | 10.14776/piv.2018.25.e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