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타주의 사운드 역할 연구 - <블루 벨벳>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영화에서 사운드의 불일치를 활용한 몽타주가 내러티브를 한층 풍성하게 구성할 수 있는 합리성과 인간내면의 복잡다단한 심리를 표현하기 위한 효율적 방법이라는 관점을 제시한다. 20세기 초반의 몽타주연구는 시각이미지들의 조합에 의한 몽타주 작품제작과 연구가 주를 이루었지만, 에이젠슈타인을 비롯한 몽타주의 대표적 감독들이 사운드를 활용한 표현영역의 확장 가능성을 이론으로 제시하였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초창기 몽타주 연구가들이 청각이미지를 몽타주 구성을 위한 중요한 콘텐츠로 인식하고 연구대상으로 생각하였던 사실은 사운드...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0; no. 5; pp. 509 - 52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1.10.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0.5.37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영화에서 사운드의 불일치를 활용한 몽타주가 내러티브를 한층 풍성하게 구성할 수 있는 합리성과 인간내면의 복잡다단한 심리를 표현하기 위한 효율적 방법이라는 관점을 제시한다. 20세기 초반의 몽타주연구는 시각이미지들의 조합에 의한 몽타주 작품제작과 연구가 주를 이루었지만, 에이젠슈타인을 비롯한 몽타주의 대표적 감독들이 사운드를 활용한 표현영역의 확장 가능성을 이론으로 제시하였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초창기 몽타주 연구가들이 청각이미지를 몽타주 구성을 위한 중요한 콘텐츠로 인식하고 연구대상으로 생각하였던 사실은 사운드에 의한 몽타주 표현이 몽타주 예술의 중요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사운드몽타주를 활용한 비일치 효과의 검증을 위해 학위 논문과 학회 논문 중 ‘영상’, ‘몽타주’, ‘사운드몽타주’로 검색한 연관성 높은 논문을 참고하였다.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영화 <시계태엽 오렌지>, <2001년의 우주여행>의 대표적인 사운드몽타주 씬의 고찰을 통해 사운드의 불일치에 의한 몽타주 기법이 현대에 이르기까지 소비에트 몽타주 연구가들이 정립한 이론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며, 기존의 사운드몽타주 이론연구가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영화 <블루 벨벳>의 ‘립 싱크’ 씬을 쇼트별로 나누어 구체적인 몽타주 효과를 살펴보고 <쿨레쇼프 효과>와 <블루 벨벳>의 립싱크 씬이 갖는 유사점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사운드 불일치에 의한 효과적인 몽타주 씬이 감독의 표현력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관객의 상상력을 무한대로 자극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증명함으로써 사운드몽타주의 확장된 표현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suggests that editing using the discrepancies in sound in films is an efficient way to express rationality and complex psychology in human being that can compose rich narrative. The montage research in the early 20th century mainly focused on the production and research of montage work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visual images, but it is worthy to note that the representative directors of montages including Eisenstein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visual expression area using sound. The fact that early montage researchers recognized auditory images as important contents for constructing montages and regarded them as the subjects of research shows that the expression of montages by sound forms as an important axis of montage art. In order to verify the non-matching effect using sound montage, highly relevant papers were reviewed by searching 'image', 'montage' and 'sound montage' among thesis and academic papers. Through the peer review of the representative sound montage scenes of Stanley Kubrick's films, < A Clockwork Orange > and < 2001:A Space Odyssey >, the montage technique caused by the inconsistency of sound turned out to be largely in the framework of the theory established by Soviet montage researchers, which showed that the existing sound montage theory research played a meaningful role. Based on these perceptions, the film's < Blue Velvet > scene was divided into shots to examine the specific montage effects, and the similar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 Kuleshov effect > and < Blue Velvet > ‘lip sync’ scenes were analyzed. Thesis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y of expanded expression of sound montage by sound mismatch, which can maximize the director's expressive power and simultaneously stimulate the audience's imagination indefinitely.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49&idx=1416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0.5.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