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환경에서의 GNSS 기반 육상 이동체를 위한 짧은 지연 다중경로 감쇄 기법

도심환경에서의 GNSS 항법을 위하여 짧은 지연 다중경로 감쇄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GNSS 수신기가 육상 교통 이동체에 탑재되어 있다는 제한 조건을 이용하여 어느 위성에서 다중경로 신호가 발생했는지를 검출하고, 해당 위성의 측정치를 제거하여 새로운 항법 결과를 도출한다. 이 때 검출 조건은 GNSS 수신기의 성능 등급과 이동체의 동적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제안 기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4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다중경로 환경에서 실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GNSS 수신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다중경로 감쇄 기법과 제안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항행학회논문지 Vol. 22; no. 6; pp. 557 - 565
Main Authors 임덕원, Deok Won Lim, 천세범, Sebum Chun, 허문범, Moon Beom He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항행학회 31.12.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9026
2288-842X
DOI10.12673/jant.2018.22.6.55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도심환경에서의 GNSS 항법을 위하여 짧은 지연 다중경로 감쇄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GNSS 수신기가 육상 교통 이동체에 탑재되어 있다는 제한 조건을 이용하여 어느 위성에서 다중경로 신호가 발생했는지를 검출하고, 해당 위성의 측정치를 제거하여 새로운 항법 결과를 도출한다. 이 때 검출 조건은 GNSS 수신기의 성능 등급과 이동체의 동적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제안 기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4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다중경로 환경에서 실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GNSS 수신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다중경로 감쇄 기법과 제안한 기법을 함께 적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한 결과 가시위성이 5개 미만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측위 결과가 5 m 이하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For GNSS navigation in urban environment, a novel short delay multipath mitigation algorithm is proposed in this paper. This algorithm detects which satellite's signal is the multipath signal by using the constraint that GNSS receiver is equipped in a ground vehicle, then estimate new position after separating the measurement of that satellite. A criterion for detecting and validating the multipath signal depends on the performance grade of the GNSS receiver and the dynamics of the vehicle. In order to evaluate the proposed algorithm, the real data had been collected at the multipath environment of 4 scenarios. By post-processing the real data with both of the multipath mitigation algorithm in the receiver and the proposed algorithm, it can be checked that the position errors were less than 5 meters except the case that the number of visible satellite is lower than 5.
Bibliography:THE KOREA NAVIGATION INSTITUTE
KISTI1.1003/JNL.JAKO201810866004886
ISSN:1226-9026
2288-842X
DOI:10.12673/jant.2018.22.6.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