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비전공자 소프트웨어 기초교육 내용 분석 - 국내 SW중심대학 중심으로

정부는 2015년부터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 사업을 통하여 미래 인재에 요구되는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으로 선정된 대학에서는 각기 다른 전공지식과 소프트웨어 소양을 겸비한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하여 대학 내 인문, 사회, 공학, 자연과학, 예체능 등 모든 계열에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개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비전공자 대상의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전공자 학생들에게 실시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의 대부분은 미래사회...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Inteonet jeongbo hakoe nonmunji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 20; no. 4; pp. 81 - 90
Main Authors 장은실, Eunsill Jang, 김재현, Jaehyou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인터넷정보학회 30.08.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0170
2287-1136
DOI10.7472/jksii.2019.20.4.8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정부는 2015년부터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 사업을 통하여 미래 인재에 요구되는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으로 선정된 대학에서는 각기 다른 전공지식과 소프트웨어 소양을 겸비한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하여 대학 내 인문, 사회, 공학, 자연과학, 예체능 등 모든 계열에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개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비전공자 대상의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전공자 학생들에게 실시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의 대부분은 미래사회에 필요한 컴퓨팅 사고력 중심의 문제해결력 향상과 컴퓨터과학에 기반을 둔 융합 능력 향상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전공별 특성을 반영한 교육 내용과 프로그래밍의 난이도 조정을 위해 블록 기반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와 텍스트 기반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하고 있다. 문제해결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문제 중심 학습(Problem based Learning), 프로젝트 중심 학습(Project Based Learning)과 토의·토론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 후 이 논문이 비전 공자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의 체계적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Since 2015, the government has been striving to strengthen the software capabilities required for future talent through software-oriented university in Korea. In the university selected as a software-oriented university, basic software education is given to all departments such as humanities, social science, engineering, natural science, arts and the sports within the university in order to foster convergent human resources with different knowledge and software literacy.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ontents of basic software education for twenty universities selected as software-oriented universities. As a result of analysis, most of the basic software education which is carried out to the students of the non-majors students was aimed at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centered on computational thinking for future society and improvement of convergence ability based on computer science. It uses block-based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and text-based advanced programming language to adjust the difficulty of programming contents and contents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each major. Problem-based learning, project-based learning, and discussion method were used a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problem solving. In the future, this paper will help to establish the systematic direction for basic software education of non-majors students.
Bibliography: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KISTI1.1003/JNL.JAKO201926358474427
http://www.jics.or.kr/digital-library/15785
ISSN:1598-0170
2287-1136
DOI:10.7472/jksii.2019.20.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