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콜라보레이션에 따른 워치페이스의 특징과 선호도 연구 - TIMEFLIK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콜라보레이션 워치페이스 다운로드 순위와 일반 브랜드 순위의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워치 페이스 디자인 개발 및 발전에 기여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1차로 문헌연구를 통해 스마트 워치 시장과 워치페이스의 기능, TIMEFLIK 일반 워치페이스와 콜라보레이션 워치페이스의 종류 및 선호도 등을 고찰하였다. 2차로 정량조사인 설문조사를 통해 20-40대 실험 참가자들 1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브랜드 선호도 조사 실험을 진행하였다. 조사를 통해 나온 수치 값을 바탕으로 각 콜라보레이션 브랜드 선호도에 대해 파악한 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3; no. 2; pp. 555 - 568
Main Authors 정자영, Jeong Ja Young, 장경국, Chang Kyoung Koo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3.2.38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콜라보레이션 워치페이스 다운로드 순위와 일반 브랜드 순위의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워치 페이스 디자인 개발 및 발전에 기여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1차로 문헌연구를 통해 스마트 워치 시장과 워치페이스의 기능, TIMEFLIK 일반 워치페이스와 콜라보레이션 워치페이스의 종류 및 선호도 등을 고찰하였다. 2차로 정량조사인 설문조사를 통해 20-40대 실험 참가자들 1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브랜드 선호도 조사 실험을 진행하였다. 조사를 통해 나온 수치 값을 바탕으로 각 콜라보레이션 브랜드 선호도에 대해 파악한 후, 콜라보레이션 워치페이스 선호도 순위와 비교분석을 통해 워치페이스와 브랜드 선호도의 연관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1)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이더라도 워치페이스 디자인으로 표현되었을 경우에 그 선호도가 비례하지는 않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으며, 일반적인 브랜드 선호도가 높지는 않더라도 워치페이스 내에서 표현방법에 따라 워치페이스 선호도 분석에서는 그 결과가 상당히 높게 도출되었다. 2) 일반 브랜드 선호도 조사에서는 패션브랜드의 카테고리가 높은 선호도를 보이는 반면, 워치페이스 선호도에서는 디자이너와 캐릭터 브랜드 카테고리가 강세를 보이며 월등히 높은 선호도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디자이너와 캐릭터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디자인 요소들이 소프트웨어에 적용하기 적합하여 화면 내에서 움직임의 표현이 용이한 결과로 보인다. 현재 스마트워치 시장은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지만 워치페이스 디자인에서의 콜라보레이션 사례 분석 조사 및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가 워치페이스와 타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사례 분석을 통해 다양한 유형을 정리하고 선호도를 분석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sign development of watchface in the futur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collaboration watchface download rankings and general brand rankings after identifying the watchface brand collaboration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based on the TIMEFLIK platform. The initial literature study has classified the current smartwatch market status,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watchfaces and the types and preferences of general watchfaces and collaboration watchfaces of TIMEFLIK. Secondly, through a survey, one of the quantitative survey methods, an online brand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with 100 participants in their 20s and 40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urvey, the relationship between watchface and brand preference was exam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anking of general brand preference and brand collaboration watchface preferenc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 1) Even if it collaborates with a brand with high preference, the preference is not proportional when expressed as a watchface design. In addition, if the expression on the watchface varied according to the brand’s characteristics, the result was high in the watchface preference analysis. 2) In the general brand preference survey, the fashion brand category showed a high preference. However, in the watchface preference survey, the designer and character brand category had a high preference. It shows a high preference for visual effects in which the design elements of designers and character brands are expressed in more various ways using movement within the watch face screen. Currently, the smartwatch market is gradually expanding, but research on collaboration case analysis in watchface design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that summarized various preference types through watchface collaboration case analysis with other brands.
AbstractList 본 연구는 콜라보레이션 워치페이스 다운로드 순위와 일반 브랜드 순위의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워치 페이스 디자인 개발 및 발전에 기여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1차로 문헌연구를 통해 스마트 워치 시장과 워치페이스의 기능, TIMEFLIK 일반 워치페이스와 콜라보레이션 워치페이스의 종류 및 선호도 등을 고찰하였다. 2차로 정량조사인 설문조사를 통해 20-40대 실험 참가자들 1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브랜드 선호도 조사 실험을 진행하였다. 조사를 통해 나온 수치 값을 바탕으로 각 콜라보레이션 브랜드 선호도에 대해 파악한 후, 콜라보레이션 워치페이스 선호도 순위와 비교분석을 통해 워치페이스와 브랜드 선호도의 연관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1)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이더라도 워치페이스 디자인으로 표현되었을 경우에 그 선호도가 비례하지는 않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으며, 일반적인 브랜드 선호도가 높지는 않더라도 워치페이스 내에서 표현방법에 따라 워치페이스 선호도 분석에서는 그 결과가 상당히 높게 도출되었다. 2) 일반 브랜드 선호도 조사에서는 패션브랜드의 카테고리가 높은 선호도를 보이는 반면, 워치페이스 선호도에서는 디자이너와 캐릭터 브랜드 카테고리가 강세를 보이며 월등히 높은 선호도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디자이너와 캐릭터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디자인 요소들이 소프트웨어에 적용하기 적합하여 화면 내에서 움직임의 표현이 용이한 결과로 보인다. 현재 스마트워치 시장은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지만 워치페이스 디자인에서의 콜라보레이션 사례 분석 조사 및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가 워치페이스와 타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사례 분석을 통해 다양한 유형을 정리하고 선호도를 분석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sign development of watchface in the futur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collaboration watchface download rankings and general brand rankings after identifying the watchface brand collaboration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based on the TIMEFLIK platform. The initial literature study has classified the current smartwatch market status,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watchfaces and the types and preferences of general watchfaces and collaboration watchfaces of TIMEFLIK. Secondly, through a survey, one of the quantitative survey methods, an online brand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with 100 participants in their 20s and 40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urvey, the relationship between watchface and brand preference was exam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anking of general brand preference and brand collaboration watchface preferenc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 1) Even if it collaborates with a brand with high preference, the preference is not proportional when expressed as a watchface design. In addition, if the expression on the watchface varied according to the brand’s characteristics, the result was high in the watchface preference analysis. 2) In the general brand preference survey, the fashion brand category showed a high preference. However, in the watchface preference survey, the designer and character brand category had a high preference. It shows a high preference for visual effects in which the design elements of designers and character brands are expressed in more various ways using movement within the watch face screen. Currently, the smartwatch market is gradually expanding, but research on collaboration case analysis in watchface design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that summarized various preference types through watchface collaboration case analysis with other brands.
본 연구는 콜라보레이션 워치페이스 다운로드 순위와 일반 브랜드 순위의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워치페이스 디자인 개발 및 발전에 기여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1차로 문헌연구를 통해 스마트워치 시장과 워치페이스의 기능, TIMEFLIK 일반 워치페이스와 콜라보레이션 워치페이스의 종류 및선호도 등을 고찰하였다. 2차로 정량조사인 설문조사를 통해 20-40대 실험 참가자들 1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브랜드 선호도 조사 실험을 진행하였다. 조사를 통해 나온 수치 값을 바탕으로 각 콜라보레이션 브랜드 선호도에 대해 파악한 후, 콜라보레이션 워치페이스 선호도 순위와 비교분석을 통해 워치페이스와 브랜드 선호도의 연관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1)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이더라도 워치페이스 디자인으로 표현되었을 경우에 그 선호도가 비례하지는 않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으며, 일반적인 브랜드 선호도가 높지는 않더라도 워치페이스 내에서 표현방법에따라 워치페이스 선호도 분석에서는 그 결과가 상당히 높게 도출되었다. 2) 일반 브랜드 선호도 조사에서는 패션브랜드의 카테고리가 높은 선호도를 보이는 반면, 워치페이스 선호도에서는 디자이너와캐릭터 브랜드 카테고리가 강세를 보이며 월등히 높은 선호도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디자이너와 캐릭터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디자인 요소들이 소프트웨어에 적용하기 적합하여 화면 내에서 움직임의 표현이 용이한 결과로 보인다. 현재 스마트워치 시장은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지만 워치페이스디자인에서의 콜라보레이션 사례 분석 조사 및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가워치페이스와 타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사례 분석을 통해 다양한 유형을 정리하고 선호도를 분석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sign development of watchface in the futur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collaboration watchface download rankings and general brand rankings after identifying the watchface brand collaboration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based on the TIMEFLIK platform. The initial literature study has classified the current smartwatch market status,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watchfaces and the types and preferences of general watchfaces and collaboration watchfaces of TIMEFLIK. Secondly, through a survey, one of the quantitative survey methods, an online brand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with 100 participants in their 20s and 40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urvey, the relationship between watchface and brand preference was exam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anking of general brand preference and brand collaboration watchface preferenc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 1) Even if it collaborates with a brand with high preference, the preference is not proportional when expressed as a watchface design. In addition, if the expression on the watchface varied according to the brand’s characteristics, the result was high in the watchface preference analysis. 2) In the general brand preference survey, the fashion brand category showed a high preference. However, in the watchface preference survey, the designer and character brand category had a high preference. It shows a high preference for visual effects in which the design elements of designers and character brands are expressed in more various ways using movement within the watch face screen. Currently, the smartwatch market is gradually expanding, but research on collaboration case analysis in watchface design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that summarized various preference types through watchface collaboration case analysis with other brands.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장경국
정자영
Jeong Ja Young
Chang Kyoung Kook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정자영
– sequence: 2
  fullname: Jeong Ja Young
– sequence: 3
  fullname: 장경국
– sequence: 4
  fullname: Chang Kyoung Kook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4065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zD1Lw0AcBvBDFKwvq4vLLQ4Oqbn873K5sdqqxaqg3cO1l0iottLg4F5BRFRQMWAqCoqLQ0GFCvUL9a7fwfqC0_PA8-OZQKP1Rj1AaIbYWcodQRfWthfzuawDWScL3gjKOJyAxYSAUZQhTHiW5wIbR9NxHFVsSjlwTkUGNXT3VN-l-jLF5jPV7Z5-fdP3x6b9Zo4Sc3OB9VVHP3WxuT01H8ngLPleTh5NO8GDkw_zfN1_7WHTuh8kXX3ewuam039_wRYuF9cLy6Ximmm3cL_b0Z3EpD39kE6hsVDuxsH0X06i8nKhvLRqlTZXiku5klXzKLMkVZUgCHkQEikps0ExIQFsKRRjjrJJVTncdZVXUQpAUUUEqKpNVBgMie3CJJr_va03Q79WjfyGjH5yp-HXmn5uq1z0heDguWJo5_7sQTPaC1Qk_f1hkc1Df2MzXyDEA0oZG7rZX1eL4vifgKCc2By-AFm1lOc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ACYCR
DOI 10.47294/KSBDA.23.2.38
DatabaseName 한국학술정보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브랜드 콜라보레이션에 따른 워치페이스의 특징과 선호도 연구 - TIMEFLIK을 기반으로
A Study on Watchface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by Brand Collaboration - focused on TIMEFLIK
DocumentTitle_FL A Study on Watchface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by Brand Collaboration - focused on TIMEFLIK
EISSN 2713-5993
EndPage 56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973869
NODE11834455
3947107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ID FETCH-LOGICAL-k845-a4dbeef7ef1aa4503d59a330a9d552d01cd2766d8bdd33d4d193dc01dfea9d063
ISSN 1598-8635
IngestDate Tue Nov 21 21:18:49 EST 2023
Thu Mar 13 19:39:47 EDT 2025
Tue Aug 13 02:12:08 EDT 2024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Keywords smartwatch
watchface
워치페이스
collaboration
TIMEFLIK
스마트워치
타임플릭
콜라보레이션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45-a4dbeef7ef1aa4503d59a330a9d552d01cd2766d8bdd33d4d193dc01dfea9d063
Note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68&idx=2139
PageCount 14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973869
nurimedia_primary_NODE11834455
kiss_primary_3947107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204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2-04-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22
  text: 202204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Year 2022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기초조형학회
SSID ssib044737749
ssib001148679
ssib009282594
Score 1.8052679
Snippet 본 연구는 콜라보레이션 워치페이스 다운로드 순위와 일반 브랜드 순위의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워치 페이스 디자인 개발 및 발전에 기여하는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콜라보레이션 워치페이스 다운로드 순위와 일반 브랜드 순위의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워치페이스 디자인 개발 및 발전에 기여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SourceID nrf
nurimedia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555
SubjectTerms collaboration
smartwatch
TIMEFLIK
watchface
스마트워치
예술일반
워치페이스
콜라보레이션
타임플릭
Title 브랜드 콜라보레이션에 따른 워치페이스의 특징과 선호도 연구 - TIMEFLIK을 기반으로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947107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3445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40653
Volume 2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기초조형학연구, 2022, 23(2), 110, pp.555-568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713-5993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7749
  issn: 1598-8635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NLT1oBdRqlg_ShDntGTNJjObmWO-Stu19eAKvS3JTlZkYVdqe9CDpwpSigoqXXBXKihePCy0Qgv15q9p0v_gm0myG6ug9TL79uW9lzfzMnnvJZk3inILfEgUkrCpRTw0NNyioRaywNA4xxEzxBZyRCxwXlquzt_HiytkZWLyR-GrpfW1sNx8-sd1Jf9jVcCBXcUq2VNYdiQUEACDfaEFC0P7TzZGvoMciqgrAOYjlgImACXku8jxcpSHHAk4JnKwAGwdUSpoxCEsAEoQSzEWYnpJsmHk6JKawHmkSObI04FsJsk9RP2cbyTJRjbOMEyweQIFDICyQThBvi01SbWkWGjjC1rRGzgdnQNkKdNFaADkBNluSSvVF5b8uTsLtUy8JLMFW6ootJkybtZjuwJwMQQv0LtC4XQYgMzJlRAKeqJl7Hcd8itUMumS1pVjL-UBNwXfQBej_FPnoJTdUFmRExjsdBgMYaVMuCdeqedP8GtPBF-pBllQzpw9nYHEfvyiScynXF13LOh0nQTABrsWPRSjGq2mNV7KkcQZVsXUCEu3mszdWrqMO5u-RsFHEUIK4Q5JdzU66UkxJF0Yrv_aPcezy4ZZNsppFZ4T1cmX73o-5KgmxoRMKmcM8K1iA5WlZ_44KK_Iqo6j_0wslx57AYwtE3IQJgsbZ31Lq6tKHW7_ogEETpBXPYZAsLMK8ePZzrrYBAPupIWgsH5BOZ9lc6qdTs2LykS7O6104_2t-EM_ftNXk-_9eHAY7-7FOy-SwV7yvJdsv1bjt8P4876avN9KDnrHL3viyOanZNBTjzcPki_vjnYP1WRj57i3H7_aUJPt4dG3r6qm5pd-MthQj_aH8bCX9A_jj_1LSn3Or7vzWravidammGgB5mEUtayoVQkCTHSTExaYph4wTojB9UqTwzBWOQ05N02OOeRYvKlXeCsCEkgpLitTnW4nuqKo2IoMblUpGNEE5xtQRoIWDazQtJgRNfGMMi2Gq_EorVzTMBnEoro1o9yE4Wu0mw8borq8-H3QbbRXG5BDLzQYExsBsxlldjS6IwFFc1_9G8E15dx4SlxXptZW16MbEMKvhbPyCvkJvybLE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B8%8C%EB%9E%9C%EB%93%9C+%EC%BD%9C%EB%9D%BC%EB%B3%B4%EB%A0%88%EC%9D%B4%EC%85%98%EC%97%90+%EB%94%B0%EB%A5%B8+%EC%9B%8C%EC%B9%98%ED%8E%98%EC%9D%B4%EC%8A%A4%EC%9D%98+%ED%8A%B9%EC%A7%95%EA%B3%BC+%EC%84%A0%ED%98%B8%EB%8F%84+%EC%97%B0%EA%B5%AC+-+TIMEFLIK%EC%9D%84+%EA%B8%B0%EB%B0%98%EC%9C%BC%EB%A1%9C&rft.jtitle=%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C%97%B0%EA%B5%AC&rft.au=%EC%A0%95%EC%9E%90%EC%98%81%28Jeong%2C+Ja+Young%29&rft.au=%EC%9E%A5%EA%B2%BD%EA%B5%AD%28Chang%2C+Kyoung+Kook%29&rft.date=2022-04-30&rft.pub=%ED%95%9C%EA%B5%AD%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D%9A%8C&rft.issn=1598-8635&rft.eissn=2713-5993&rft.volume=23&rft.issue=2&rft.spage=555&rft.epage=568&rft_id=info:doi/10.47294%2FKSBDA.23.2.38&rft.externalDocID=NODE11834455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63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