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콜라보레이션에 따른 워치페이스의 특징과 선호도 연구 - TIMEFLIK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콜라보레이션 워치페이스 다운로드 순위와 일반 브랜드 순위의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워치 페이스 디자인 개발 및 발전에 기여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1차로 문헌연구를 통해 스마트 워치 시장과 워치페이스의 기능, TIMEFLIK 일반 워치페이스와 콜라보레이션 워치페이스의 종류 및 선호도 등을 고찰하였다. 2차로 정량조사인 설문조사를 통해 20-40대 실험 참가자들 1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브랜드 선호도 조사 실험을 진행하였다. 조사를 통해 나온 수치 값을 바탕으로 각 콜라보레이션 브랜드 선호도에 대해 파악한 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3; no. 2; pp. 555 - 568
Main Authors 정자영, Jeong Ja Young, 장경국, Chang Kyoung Koo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3.2.3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콜라보레이션 워치페이스 다운로드 순위와 일반 브랜드 순위의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워치 페이스 디자인 개발 및 발전에 기여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1차로 문헌연구를 통해 스마트 워치 시장과 워치페이스의 기능, TIMEFLIK 일반 워치페이스와 콜라보레이션 워치페이스의 종류 및 선호도 등을 고찰하였다. 2차로 정량조사인 설문조사를 통해 20-40대 실험 참가자들 1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브랜드 선호도 조사 실험을 진행하였다. 조사를 통해 나온 수치 값을 바탕으로 각 콜라보레이션 브랜드 선호도에 대해 파악한 후, 콜라보레이션 워치페이스 선호도 순위와 비교분석을 통해 워치페이스와 브랜드 선호도의 연관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1)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이더라도 워치페이스 디자인으로 표현되었을 경우에 그 선호도가 비례하지는 않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으며, 일반적인 브랜드 선호도가 높지는 않더라도 워치페이스 내에서 표현방법에 따라 워치페이스 선호도 분석에서는 그 결과가 상당히 높게 도출되었다. 2) 일반 브랜드 선호도 조사에서는 패션브랜드의 카테고리가 높은 선호도를 보이는 반면, 워치페이스 선호도에서는 디자이너와 캐릭터 브랜드 카테고리가 강세를 보이며 월등히 높은 선호도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디자이너와 캐릭터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디자인 요소들이 소프트웨어에 적용하기 적합하여 화면 내에서 움직임의 표현이 용이한 결과로 보인다. 현재 스마트워치 시장은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지만 워치페이스 디자인에서의 콜라보레이션 사례 분석 조사 및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가 워치페이스와 타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사례 분석을 통해 다양한 유형을 정리하고 선호도를 분석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sign development of watchface in the futur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collaboration watchface download rankings and general brand rankings after identifying the watchface brand collaboration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based on the TIMEFLIK platform. The initial literature study has classified the current smartwatch market status,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watchfaces and the types and preferences of general watchfaces and collaboration watchfaces of TIMEFLIK. Secondly, through a survey, one of the quantitative survey methods, an online brand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with 100 participants in their 20s and 40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urvey, the relationship between watchface and brand preference was exam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anking of general brand preference and brand collaboration watchface preferenc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 1) Even if it collaborates with a brand with high preference, the preference is not proportional when expressed as a watchface design. In addition, if the expression on the watchface varied according to the brand’s characteristics, the result was high in the watchface preference analysis. 2) In the general brand preference survey, the fashion brand category showed a high preference. However, in the watchface preference survey, the designer and character brand category had a high preference. It shows a high preference for visual effects in which the design elements of designers and character brands are expressed in more various ways using movement within the watch face screen. Currently, the smartwatch market is gradually expanding, but research on collaboration case analysis in watchface design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that summarized various preference types through watchface collaboration case analysis with other brands.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68&idx=2139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3.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