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의 시대적 정의에 관한 연구 - 문헌연구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정원과 정원설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정원`이라는 용어의 사용범위가 엄청나게 넓고 복잡하며, 그에 따른 정원에 관한 개념 정립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문헌연구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원의 시대적 의미를 파악하고, 그 변화 패턴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과거 정원은 내 집 마당과 뜰과 같이 사적인 영역부터 집 밖의 들까지 광범위하였지만, 경제개발 이후 주거환경이 변하여 주로 사적인 영역에 정원이 조성되면서 범위가 축소되었다. 또, 자연과 사람의 상호작용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경학회지 Vol. 44; no. 5; pp. 1 - 11
Main Authors 우경숙, Woo Kyungsook, 서주환, Suh Joo Hw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경학회 31.10.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1755
2288-9566

Cover

Abstract 최근 정원과 정원설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정원`이라는 용어의 사용범위가 엄청나게 넓고 복잡하며, 그에 따른 정원에 관한 개념 정립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문헌연구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원의 시대적 의미를 파악하고, 그 변화 패턴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과거 정원은 내 집 마당과 뜰과 같이 사적인 영역부터 집 밖의 들까지 광범위하였지만, 경제개발 이후 주거환경이 변하여 주로 사적인 영역에 정원이 조성되면서 범위가 축소되었다. 또, 자연과 사람의 상호작용을 위한 공간으로서 역할을 하는, 정원과 성격이 비슷한 도시공원의 도입으로 인해 정원과 공원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정원의 개념에 혼란이 시작되었다. 결국 정원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고, 정원의 정의는 자연과학, 사회학 및 문화학 등 여러 분야의 총합으로 다양하게 이해될 수밖에 없다. 정원의 시대적 정의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정원의 개념적 범위를 파악하여 정원과 관련된 연구에 시사점을 줄 수 있으며, 이 연구에 사용된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는 다른 유사한 연구, 특히 조경분야의 의미론 연구의 방법으로 기여할 수 있다. There has been an increasingly high interest in gardens and garden design in Korea recently. However, the usage of the term ‘garden` is extremely varied and complex, and there has been very little academic research made on the meaning of garden.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ideas of current gardens and to elucidate their changing patterns by means of extensive literature research and big data analysis. The notion of garden in the past was broad including not only private space such as Madang(마당) and Teul(뜰), but also even field and grass land as public outdoor space. Yet, the meaning has become smaller to merely private space due to the change of dwelling systems due to high industrial development of the 20th century. Furthermore, the introduction of urban parks as an interactive space between nature and humans, the similar spatial function of gardens, has blurred the boundary between garden and park, which created confusion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a garden. After all, garden is a subject for humans. The meanings of garden need to be recognized from various points of view since garden itself is a creation by the sum of diverse fields such as natural and social sciences as well as culturology. This discussion on the meaning of garden in the present day will give a conceptual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gardens and garden design. Also, the big data analysis employed here as a research method can help other similar research topics, particularly semantics in landscape architecture.
AbstractList 최근 정원과 정원설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정원’이라는 용어의 사용범위가 엄청나게 넓고 복잡하며, 그에 따른 정원에 관한 개념 정립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문헌연구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원의 시대적 의미를 파악하고, 그 변화 패턴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과거 정원은 내 집 마당과 뜰과 같이 사적인 영역부터 집 밖의 들까지 광범위하였지만, 경제개발 이후 주거환경이 변하여 주로 사적인 영역에 정원이 조성되면서 범위가 축소되었다. 또, 자연과 사람의 상호작용을 위한 공간으로서 역할을 하는, 정원과 성격이 비슷한 도시공원의 도입으로 인해 정원과 공원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정원의 개념에 혼란이 시작되었다. 결국 정원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고, 정원의 정의는 자연과학, 사회학 및 문화학 등 여러 분야의 총합으로 다양하게 이해될 수밖에 없다. 정원의 시대적 정의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정원의 개념적 범위를 파악하여 정원과 관련된 연구에 시사점을 줄 수 있으며, 이 연구에 사용된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는 다른 유사한 연구, 특히 조경분야의 의미론 연구의 방법으로 기여할 수 있다. There has been an increasingly high interest in gardens and garden design in Korea recently. However, the usage of the term ‘garden’ is extremely varied and complex, and there has been very little academic research made on the meaning of garden.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ideas of current gardens and to elucidate their changing patterns by means of extensive literature research and big data analysis. The notion of garden in the past was broad including not only private space such as Madang(마당) and Teul(뜰), but also even field and grass land as public outdoor space. Yet, the meaning has become smaller to merely private space due to the change of dwelling systems due to high industrial development of the 20th century. Furthermore, the introduction of urban parks as an interactive space between nature and humans, the similar spatial function of gardens, has blurred the boundary between garden and park, which created confusion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a garden. After all, garden is a subject for humans. The meanings of garden need to be recognized from various points of view since garden itself is a creation by the sum of diverse fields such as natural and social sciences as well as culturology. This discussion on the meaning of garden in the present day will give a conceptual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gardens and garden design. Also, the big data analysis employed here as a research method can help other similar research topics, particularly semantics in landscape architecture. KCI Citation Count: 9
최근 정원과 정원설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정원`이라는 용어의 사용범위가 엄청나게 넓고 복잡하며, 그에 따른 정원에 관한 개념 정립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문헌연구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원의 시대적 의미를 파악하고, 그 변화 패턴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과거 정원은 내 집 마당과 뜰과 같이 사적인 영역부터 집 밖의 들까지 광범위하였지만, 경제개발 이후 주거환경이 변하여 주로 사적인 영역에 정원이 조성되면서 범위가 축소되었다. 또, 자연과 사람의 상호작용을 위한 공간으로서 역할을 하는, 정원과 성격이 비슷한 도시공원의 도입으로 인해 정원과 공원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정원의 개념에 혼란이 시작되었다. 결국 정원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고, 정원의 정의는 자연과학, 사회학 및 문화학 등 여러 분야의 총합으로 다양하게 이해될 수밖에 없다. 정원의 시대적 정의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정원의 개념적 범위를 파악하여 정원과 관련된 연구에 시사점을 줄 수 있으며, 이 연구에 사용된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는 다른 유사한 연구, 특히 조경분야의 의미론 연구의 방법으로 기여할 수 있다. There has been an increasingly high interest in gardens and garden design in Korea recently. However, the usage of the term ‘garden` is extremely varied and complex, and there has been very little academic research made on the meaning of garden.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ideas of current gardens and to elucidate their changing patterns by means of extensive literature research and big data analysis. The notion of garden in the past was broad including not only private space such as Madang(마당) and Teul(뜰), but also even field and grass land as public outdoor space. Yet, the meaning has become smaller to merely private space due to the change of dwelling systems due to high industrial development of the 20th century. Furthermore, the introduction of urban parks as an interactive space between nature and humans, the similar spatial function of gardens, has blurred the boundary between garden and park, which created confusion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a garden. After all, garden is a subject for humans. The meanings of garden need to be recognized from various points of view since garden itself is a creation by the sum of diverse fields such as natural and social sciences as well as culturology. This discussion on the meaning of garden in the present day will give a conceptual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gardens and garden design. Also, the big data analysis employed here as a research method can help other similar research topics, particularly semantics in landscape architectur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ly high interest in gardens and garden design in Korea recently. However, the usage of the term 'garden' is extremely varied and complex, and there has been very little academic research made on the meaning of garden.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ideas of current gardens and to elucidate their changing patterns by means of extensive literature research and big data analysis. The notion of garden in the past was broad including not only private space such as Madang(마당) and Teul(뜰), but also even field and grass land as public outdoor space. Yet, the meaning has become smaller to merely private space due to the change of dwelling systems due to high industrial development of the 20th century. Furthermore, the introduction of urban parks as an interactive space between nature and humans, the similar spatial function of gardens, has blurred the boundary between garden and park, which created confusion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a garden. After all, garden is a subject for humans. The meanings of garden need to be recognized from various points of view since garden itself is a creation by the sum of diverse fields such as natural and social sciences as well as culturology. This discussion on the meaning of garden in the present day will give a conceptual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gardens and garden design. Also, the big data analysis employed here as a research method can help other similar research topics, particularly semantics in landscape architecture. 최근 정원과 정원설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정원'이라는 용어의 사용범위가 엄청나게 넓고 복잡하며, 그에 따른 정원에 관한 개념 정립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문헌연구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원의 시대적 의미를 파악하고, 그 변화 패턴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과거 정원은 내 집 마당과 뜰과 같이 사적인 영역부터 집 밖의 들까지 광범위하였지만, 경제개발 이후 주거환경이 변하여 주로 사적인 영역에 정원이 조성되면서 범위가 축소되었다. 또, 자연과 사람의 상호작용을 위한 공간으로서 역할을 하는, 정원과 성격이 비슷한 도시공원의 도입으로 인해 정원과 공원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정원의 개념에 혼란이 시작되었다. 결국 정원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고, 정원의 정의는 자연과학, 사회학 및 문화학 등 여러 분야의 총합으로 다양하게 이해될 수밖에 없다. 정원의 시대적 정의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정원의 개념적 범위를 파악하여 정원과 관련된 연구에 시사점을 줄 수 있으며, 이 연구에 사용된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는 다른 유사한 연구, 특히 조경분야의 의미론 연구의 방법으로 기여할 수 있다.
Author Woo Kyungsook
Suh Joo Hwan
우경숙
서주환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우경숙
– sequence: 2
  fullname: Woo Kyungsook
– sequence: 3
  fullname: 서주환
– sequence: 4
  fullname: Suh Joo Hwa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6198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zk9LAkEYBvAlDDLzE3SZS4cOCzOzs7uzR5H-WIIQ3qfZ2TUWTcPt4s3CThoYIWrugoEdAg8eLAr8RO7sd0gzOj28L7_34d1VEtVa1d1SkhhTqlq6YSSUJMJYV5Gp6ztK2vc9G0JKdGQiI6k05LgnR91LGQ6AbAdRpynHd2C9DAey3wXLeTPuBUD2Z8uPKVBBNP2K-53NKIdNEH0_RI8zGc7j1ix6W4B4GMiX9_VJfD-Ro070HIDosyVboQxbQE6eZHsqg0X0Guwp2yVe8d30X6aU4vFRMXuq5gsnuWwmr5ZXT6ocEeQ62KGQECFcIpCwIHQxwYIjzRKCc0qgsDC0NagTYRJNOLbp2pBQkxNDSymHm9pqvcTKwmM17v3mVY2V6yxzUcwxhE1iUn1lDza27Pm3Hqs6foWdZc4LGCJDWxtrVa_hldv_dz67qXvXvN5gGqHQMKj2A1pflT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JDI
ACYCR
DEWEY 712
DatabaseName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Architecture
DocumentTitleAlternate 정원`의 시대적 정의에 관한 연구 - 문헌연구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emporary Definition of ‘GARDEN’ - Keyword Analysis used Literature Research and Big Data
EISSN 2288-9566
EndPage 11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274785
JAKO201632747974332
3480668
GroupedDBID .UV
HZB
Q5X
ALMA_UNASSIGNED_HOLDINGS
JDI
ACYCR
M~E
ID FETCH-LOGICAL-k845-a141ed2d8044cce4c1c900e242ca139ccaa840c920b3054c743cdb7eb0487a463
ISSN 1225-1755
IngestDate Tue Nov 21 21:42:13 EST 2023
Fri Dec 22 12:02:12 EST 2023
Sat Sep 06 06:23:47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5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45-a141ed2d8044cce4c1c900e242ca139ccaa840c920b3054c743cdb7eb0487a463
Notes Korean l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ISTI1.1003/JNL.JAKO201632747974332
G704-000407.2016.44.5.002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63274797433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1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274785
kisti_ndsl_JAKO201632747974332
kiss_primary_348066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610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6-10-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0
  year: 2016
  text: 201610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한국조경학회지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조경학회지
PublicationYear 2016
Publisher 한국조경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조경학회
SSID ssib008451716
ssib044738266
ssib053376761
ssib001151868
ssib009283268
ssib053377460
ssib022331698
Score 1.9820075
Snippet 최근 정원과 정원설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정원`이라는 용어의 사용범위가 엄청나게 넓고 복잡하며, 그에 따른 정원에 관한 개념 정립에 대한...
There has been an increasingly high interest in gardens and garden design in Korea recently. However, the usage of the term 'garden' is extremely varied and...
최근 정원과 정원설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정원’이라는 용어의 사용범위가 엄청나게 넓고 복잡하며, 그에 따른 정원에 관한 개념 정립에 대한...
SourceID nrf
kisti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1
SubjectTerms Big Data Analysis
Text Mining
The Definition of Garden
빅데이터 분석
정원의 정의
조경학
텍스트 마이닝
Title 정원`의 시대적 정의에 관한 연구 - 문헌연구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480668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63274797433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61981
Volume 4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조경학회지, 2016, 44(5), 177, pp.1-11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288-9566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266
  issn: 1225-1755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3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NLQ9eRGlivWjBDGnJZKPSTJzTLIrtaJeKvQWNrNZKSu70o-Lh7LKemqFipS2dhcqVEHooYcqCv01PTaz_8H3Jtlu1g-ovYTJe2_evI-ZzHvDzERR7kGIXeNGkuhJ3WM68fDK29h1dRgcNqvxpJ7U8YDz4yfuzDMyO-_Mj41_KexaWlmO7_NXfz1XchGvAgz8iqdk_8OzZ0wBAGXwLzzBw_A8l48HOxWoVgk1HwoOFligMWOAYhJSBpoSlijgQq0SaDREdFaNmqVRBuWcJfOAE-B8LSCSvIwULCzlyMCQOEfzw5JeQrZ-qAVU0nnYxB9kEsKAl6QOoORIacqSSDYNTUF9SiQEODpagA2WsR7LGPiaz4rCALml-SRXnkoFmZ3hoBUXuaHyBPlnrVCS6QwgMzdMLh1oIBn4JpSLsftZiwNtJC8gy_WztKA8oMnE83Mb-B5aDzozIRDQO4XVl1ydEQ4gDNXYCAlKnnGypXSZMWhxycZ0C3MdDrKLiVuYpOAbrEPYl-0GSCTMsmBsQK5bnIzMQlSTz2gj943_FgeM3Dje4AvR81bUWIwgr3oYmbh4QZ1xZRzmB9wgu1oZBt0QNBb_uUCJg3cwnb0z_BvWEA_xqG26wySfwAcCclx5DHCgGMRHkD4tQcKIWdQCxH3NxXoh7pu7olzOEzbVz0bfVWWs0ZpUVk_a22JvU-xunLR3RG9bFWvddL0t9l6rCO5ti60N9fSo3d_sqmLr8PTbgaqr6cGP_tZ69ip22mr682367lD0jvqdw_Tzsdrf6YqPX7FK_82-2F1PP3TV9HtHdHqi11HF_nuxdiC6x-mn7jVl7kFlLpzR8z-Z6A2whl41iZnUrBoFZTlPCDc5M4wEomNehQwMPqJVSgzOLCMG8xIOUT3Ha8_BONSrEte-rkw0W83khqLWzdgjMYSQpOYRQnm1zt2Ycmo5DBebqlPKJFouepndVRPZhEJSQaeUaWnJqFlbehHN-o-eYr-00avMwysMp5S7YGLp9n-7_-Z5iG4pl4Z9_rYysby4ktyBwH05npb95hel-ckU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2%80%98%EC%A0%95%EC%9B%90%E2%80%99%EC%9D%98+%EC%8B%9C%EB%8C%80%EC%A0%81+%EC%A0%95%EC%9D%98%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EB%AC%B8%ED%97%8C%EC%97%B0%EA%B5%AC%EC%99%80+%EB%B9%85%EB%8D%B0%EC%9D%B4%ED%84%B0%EB%A5%BC+%ED%99%9C%EC%9A%A9%ED%95%9C+%ED%82%A4%EC%9B%8C%EB%93%9C+%EB%B6%84%EC%84%9D%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D%95%9C%EA%B5%AD%EC%A1%B0%EA%B2%BD%ED%95%99%ED%9A%8C%EC%A7%80%2C+44%285%29&rft.au=%EC%9A%B0%EA%B2%BD%EC%88%99&rft.au=%EC%84%9C%EC%A3%BC%ED%99%98&rft.date=2016-10-31&rft.pub=%ED%95%9C%EA%B5%AD%EC%A1%B0%EA%B2%BD%ED%95%99%ED%9A%8C&rft.issn=1225-1755&rft.eissn=2288-9566&rft.spage=1&rft.epage=11&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274785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175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175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175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