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의 시대적 정의에 관한 연구 - 문헌연구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정원과 정원설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정원`이라는 용어의 사용범위가 엄청나게 넓고 복잡하며, 그에 따른 정원에 관한 개념 정립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문헌연구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원의 시대적 의미를 파악하고, 그 변화 패턴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과거 정원은 내 집 마당과 뜰과 같이 사적인 영역부터 집 밖의 들까지 광범위하였지만, 경제개발 이후 주거환경이 변하여 주로 사적인 영역에 정원이 조성되면서 범위가 축소되었다. 또, 자연과 사람의 상호작용을...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조경학회지 Vol. 44; no. 5; pp. 1 - 11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조경학회
31.10.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1755 2288-9566 |
Cover
Summary: | 최근 정원과 정원설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정원`이라는 용어의 사용범위가 엄청나게 넓고 복잡하며, 그에 따른 정원에 관한 개념 정립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문헌연구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원의 시대적 의미를 파악하고, 그 변화 패턴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과거 정원은 내 집 마당과 뜰과 같이 사적인 영역부터 집 밖의 들까지 광범위하였지만, 경제개발 이후 주거환경이 변하여 주로 사적인 영역에 정원이 조성되면서 범위가 축소되었다. 또, 자연과 사람의 상호작용을 위한 공간으로서 역할을 하는, 정원과 성격이 비슷한 도시공원의 도입으로 인해 정원과 공원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정원의 개념에 혼란이 시작되었다. 결국 정원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고, 정원의 정의는 자연과학, 사회학 및 문화학 등 여러 분야의 총합으로 다양하게 이해될 수밖에 없다. 정원의 시대적 정의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정원의 개념적 범위를 파악하여 정원과 관련된 연구에 시사점을 줄 수 있으며, 이 연구에 사용된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는 다른 유사한 연구, 특히 조경분야의 의미론 연구의 방법으로 기여할 수 있다.
There has been an increasingly high interest in gardens and garden design in Korea recently. However, the usage of the term ‘garden` is extremely varied and complex, and there has been very little academic research made on the meaning of garden.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ideas of current gardens and to elucidate their changing patterns by means of extensive literature research and big data analysis. The notion of garden in the past was broad including not only private space such as Madang(마당) and Teul(뜰), but also even field and grass land as public outdoor space. Yet, the meaning has become smaller to merely private space due to the change of dwelling systems due to high industrial development of the 20th century. Furthermore, the introduction of urban parks as an interactive space between nature and humans, the similar spatial function of gardens, has blurred the boundary between garden and park, which created confusion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a garden. After all, garden is a subject for humans. The meanings of garden need to be recognized from various points of view since garden itself is a creation by the sum of diverse fields such as natural and social sciences as well as culturology. This discussion on the meaning of garden in the present day will give a conceptual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gardens and garden design. Also, the big data analysis employed here as a research method can help other similar research topics, particularly semantics in landscape architecture. |
---|---|
Bibliography: | Korean l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ISTI1.1003/JNL.JAKO201632747974332 G704-000407.2016.44.5.002 |
ISSN: | 1225-1755 2288-95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