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공간과 글로벌 공감사회

국제지형에서 인터넷의 효과와 핵심쟁점을 이해하는 작업은 각국의 발전전략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연구모델을 보다 심화시킬 수 있으며, 세계화의 영향력이 날로 커지는 사이버 공간의 발전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사회의 새로운 흐름을 결정하는 요인을 진단하기 위해 기존의 핵심요소인 경제성장을 중심으로 하는 객관적인 접근에서 확장하여 정보화와 함께 사회문화적인 가치체계를 반영하는 통합적인 분석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이버 공간을 통한 소통방식과 각국의 문화적 토대는 글로벌 공동체의 분권화를 향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 22; no. 2; pp. 111 - 122
Main Authors 서문기, Moon-gi Su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경제지리학회 30.06.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8968
2713-9115
DOI10.23841/egsk.2019.22.2.11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국제지형에서 인터넷의 효과와 핵심쟁점을 이해하는 작업은 각국의 발전전략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연구모델을 보다 심화시킬 수 있으며, 세계화의 영향력이 날로 커지는 사이버 공간의 발전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사회의 새로운 흐름을 결정하는 요인을 진단하기 위해 기존의 핵심요소인 경제성장을 중심으로 하는 객관적인 접근에서 확장하여 정보화와 함께 사회문화적인 가치체계를 반영하는 통합적인 분석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이버 공간을 통한 소통방식과 각국의 문화적 토대는 글로벌 공동체의 분권화를 향한 새로운 균형점의 가능성을 내포한다. 다원화된 네트워크 구조에서 온라인 공간에 참여하는 과정은 상호의존성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자발적인 협력관계에 의해 기존 질서로부터 벗어나 역동적인 권력이동의 함수관계를 포함하며 글로벌 공감사회를 향한 중요한 과제를 안겨주는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ritical issues of globalization and present an alternative framework that places ICT in the function of developmen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o adjudicate the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effect of developmental factors, it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global trend that leads to the comprehensive mechanism of ICT and cultural residues. The advent of the global community in cyber space requires a new balancing point by the mode of communication and culture among all societies and operation with decentralized authority. This interdependence, by providing diverse network structures and participating in cyberspace, includes the power shift from the dynamics of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voluntary collaboration and brings some important implications for a global empathetic society.
Bibliography: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KISTI1.1003/JNL.JAKO201924065623550
ISSN:1226-8968
2713-9115
DOI:10.23841/egsk.2019.22.2.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