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제 카이와의 놀이 특성을 적용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 교육 방안

본 연구는 놀이 개념과 교육의 상관관계를 시작으로 로제 카이와의 대표적인 4가지 유형별 놀이이론에 따른 특성을 적용하여,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교육 방안 사례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디자인 전공 기초 과목인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교육내용 및 수행 과정 속에 놀이의 개념과 특성을 반영하여 학습자의 교육 효율과 시너지 효과를 높이고, 패션디자인 창조에 있어 기초적 발판을 마련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방법은 먼저, 논리적 추론으로 교육에 접목되는 놀이의 이론적 배경확립을 위해 로제 카이와가 정립한 놀이 유형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1; no. 5; pp. 417 - 428
Main Authors 윤지영, Youn Ji Yo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10.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1.5.3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놀이 개념과 교육의 상관관계를 시작으로 로제 카이와의 대표적인 4가지 유형별 놀이이론에 따른 특성을 적용하여,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교육 방안 사례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디자인 전공 기초 과목인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교육내용 및 수행 과정 속에 놀이의 개념과 특성을 반영하여 학습자의 교육 효율과 시너지 효과를 높이고, 패션디자인 창조에 있어 기초적 발판을 마련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방법은 먼저, 논리적 추론으로 교육에 접목되는 놀이의 이론적 배경확립을 위해 로제 카이와가 정립한 놀이 유형과 특성에 관한 문헌 고찰로 시작한다. 다음 단계로 패션디자인 전공의 기초 실기 교과목인 패션일러스트레이션 교육과정과 놀이 특성 및 유형을 접목하여 창의적인 능동형 디자인 교육 모형을 제안하고 실기 방법과 사례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실기 사례 결과에 대한 다양한 효율성 및 결론을 이끌어낸다. 연구결과는 놀이 유형에 따라 설계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수업과정 단계별 교육 모형과 그에 따른 학습자의 실기 사례 결과물이다. 아곤, 미미크리, 알레아, 일링크스의 놀이 특성이 접목되어 패션일러스트레이션 결과물에 따른 각각의 표현방법 및 효율성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놀이의 개념과 특성을 체험 방식으로 적용한 본 연구를 기점으로 기존의 평면적이고 복제 위주의 획일화된 표현기법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 교육방법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또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즐거운 소통과 자연스러운 협업 및 창의적 발상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패션일러스트레이션 교육 방안의 기초적인 사례가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the correlation between play and education based on four types of play in a theory proposed by Roger Caillois. The aim is to improve educational efficiency and synergy effect for learners by incorporat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lay into the content and execution of fashion illustration education, which is a required subject for a fashion design students and to help them use it as a foundation in creating fashion design.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terature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lay proposed by Roger Caillois in order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ly, it proposed a proactive design education model and related practical examples by combining a fashion illustration curriculum, which is a required course for students specializing in fashion design, and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lay. Lastly, the study proposed a case study and conclusion. The findings are the results of applying the step-by-step education model and the related assignment submitted by the learners based on types of play. The expressive method and efficiency of each fashion illustration example were evaluated based on play characteristics of agon, mimicry, alea, and ilinx. By doing so, this study attempted to deviate from the one-dimensional and unified education method by apply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lay in an experiential way. Also, it can provide a case study for fashion illustration education that can bring about enjoyable communication and organic cooperation and creative ideas between the educator and learners.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55&idx=1655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1.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