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대 미술의 웃음에 관한 연구

이 연구는 미술에 나타난 웃음과 유머의 사례를 살펴보고 역사적 고찰을 토대로 동시대 미술에 사용되는 ‘웃음’의 기능과 의미를 조명해 보기 위한 것이다. ‘웃음’과 ‘유머’는 가장 원초적인 인간의 속성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유독 미술의 영역에서는 알려진 사례도 적고 연구도 미진한 상태이다. 최근 미술계에서는 유머나 웃음 코드를 미술작품의 중요한 기제나 내용으로 사용하는 작가나 작품이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관찰되는데, 이는 사회적인 상황이나 분위기에도 영향을 받지만, ‘포스트모던’ 이후에 대두된 장르간 경계의 해체나 융합과도 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19; no. 3; pp. 85 - 101
Main Authors 김제민, Kim Jeim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0.06.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19.3.7

Cover

Abstract 이 연구는 미술에 나타난 웃음과 유머의 사례를 살펴보고 역사적 고찰을 토대로 동시대 미술에 사용되는 ‘웃음’의 기능과 의미를 조명해 보기 위한 것이다. ‘웃음’과 ‘유머’는 가장 원초적인 인간의 속성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유독 미술의 영역에서는 알려진 사례도 적고 연구도 미진한 상태이다. 최근 미술계에서는 유머나 웃음 코드를 미술작품의 중요한 기제나 내용으로 사용하는 작가나 작품이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관찰되는데, 이는 사회적인 상황이나 분위기에도 영향을 받지만, ‘포스트모던’ 이후에 대두된 장르간 경계의 해체나 융합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미술 작품 속의 유머나 웃음은 다양한 양상으로 존재하지만 연구자는 특히 웃음이 가지고 있는 위선적인 권력을 조롱하는 탈-권위적 기능, 경계를 넘나드는 초월성, 그리고 자조적인 웃음으로 모순된 현실로부터 탈출하려는 속성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조사와 사례연구를 통해 주제에 부합되는 국내외 작가를 선별한 후, 사회풍자, 미술풍자, 유희성 등의 기준으로 분류를 시도하는 한편, 국내외에서 개최되었던 미술 기획전 중에서 이 주제를 다룬 사례를 조사함으로써 동시대 미술에서 ‘웃음’이라는 담론이 점차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시대 상황 속에서 유의미한 작가와 작품에 주목하였으며, 그들이 부조리한 세상에 던지는 통찰력 있는 웃음의 내용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제시된 작가와 작품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시대 미술의 유머는 탈-권위, 현실의 초월, 현실의 모순에 대한 돌파구, 그리고 사회에 대한 통찰력 있는 비판으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국 미술계에서 유머나 풍자는 검열의 대상이 되거나 저급한 것으로 취급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작금의 정치, 사회, 문화적 상황에서 웃음이 미술에 풍부하게 등장할 수 있는 토양은 충분히 마련되었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가 유용한 자료,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희망하며, 앞으로 사려 깊은 웃음이 내포된 좋은 작품들이 더 많이 생산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examines the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humor in contemporary art, based on a historical overview of relevant cases. Despite laughter and humor being some of the most basic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cases of humor in fine art are relatively rare, and research on this subject is also limited.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trend of artists using humor or laughter-inducing codes as important mechanisms or contents in their works. While humor and laughter exist in artworks in diverse ways, this study focuses on humor’s post-authoritarian function of ridiculing hypocritical power, its transcendent nature of traversing borders, and its nature of wanting to escape from contradictory reality through self-mocking laughter. The study attempts to find such qualities through case studies of artists from Korea and overseas, and through a survey of art exhibitions dealing with themes of humor or laughter in recent years, it demonstrates how the discourse of humor has continuously existed and increased in time. Among the diverse aspects of humor in contemporary art, this study focuses on the artists and works that gain significance in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aims to illuminate the contents of such insightful laughter the artists direct toward the irrational world. In the Korean art scene, humorous or satirical art has experienced political censorship or has been considered low-brow at times. But in a situation where countless contradictions and problems are being exposed throughout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and at a point in time referred to some as the ‘end of seriousness,’ there is sufficient reason and conditions for critical and thoughtful humor to appear in the art with abundance.
AbstractList 이 연구는 미술에 나타난 웃음과 유머의 사례를 살펴보고 역사적 고찰을 토대로 동시대 미술에 사용되는 ‘웃음’의 기능과 의미를 조명해 보기 위한 것이다. ‘웃음’과 ‘유머’는 가장 원초적인 인간의 속성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유독 미술의 영역에서는 알려진 사례도 적고 연구도 미진한 상태이다. 최근 미술계에서는 유머나 웃음 코드를 미술작품의 중요한 기제나 내용으로 사용하는 작가나 작품이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관찰되는데, 이는사회적인 상황이나 분위기에도 영향을 받지만, ‘포스트모던’ 이후에 대두된 장르간 경계의 해체나 융합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미술 작품 속의 유머나 웃음은 다양한 양상으로 존재하지만 연구자는 특히 웃음이가지고 있는 위선적인 권력을 조롱하는 탈-권위적 기능, 경계를 넘나드는 초월성, 그리고 자조적인 웃음으로 모순된 현실로부터 탈출하려는 속성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조사와 사례연구를 통해 주제에 부합되는 국내외 작가를 선별한 후, 사회풍자, 미술풍자, 유희성 등의 기준으로 분류를 시도하는 한편, 국내외에서 개최되었던 미술 기획전 중에서 이 주제를 다룬 사례를 조사함으로써 동시대 미술에서 ‘웃음’이라는 담론이 점차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시대 상황 속에서 유의미한 작가와 작품에 주목하였으며, 그들이부조리한 세상에 던지는 통찰력 있는 웃음의 내용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제시된 작가와 작품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시대 미술의 유머는 탈-권위, 현실의 초월, 현실의 모순에 대한 돌파구, 그리고 사회에 대한 통찰력 있는 비판으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국 미술계에서 유머나 풍자는 검열의 대상이 되거나 저급한 것으로 취급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작금의 정치, 사회, 문화적 상황에서 웃음이 미술에 풍부하게 등장할 수 있는 토양은 충분히 마련되었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가 유용한 자료,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희망하며, 앞으로 사려 깊은웃음이 내포된 좋은 작품들이 더 많이 생산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examines the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humor in contemporary art, based on ahistorical overview of relevant cases. Despite laughter and humor being some of the most basic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cases of humor in fine art are relatively rare, and research onthis subject is also limited.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trend of artists using humor orlaughter-inducing codes as important mechanisms or contents in their works. While humor andlaughter exist in artworks in diverse ways, this study focuses on humor’s post-authoritarianfunction of ridiculing hypocritical power, its transcendent nature of traversing borders, and itsnature of wanting to escape from contradictory reality through self-mocking laughter. The studyattempts to find such qualities through case studies of artists from Korea and overseas, andthrough a survey of art exhibitions dealing with themes of humor or laughter in recent years, itdemonstrates how the discourse of humor has continuously existed and increased in time. Among the diverse aspects of humor in contemporary art, this study focuses on the artists andworks that gain significance in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aims to illuminate the contents ofsuch insightful laughter the artists direct toward the irrational world. In the Korean art scene,humorous or satirical art has experienced political censorship or has been considered low-browat times. But in a situation where countless contradictions and problems are being exposedthroughout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and at a point in time referred to some as the ‘end ofseriousness,’ there is sufficient reason and conditions for critical and thoughtful humor to appearin the art with abundance. KCI Citation Count: 1
이 연구는 미술에 나타난 웃음과 유머의 사례를 살펴보고 역사적 고찰을 토대로 동시대 미술에 사용되는 ‘웃음’의 기능과 의미를 조명해 보기 위한 것이다. ‘웃음’과 ‘유머’는 가장 원초적인 인간의 속성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유독 미술의 영역에서는 알려진 사례도 적고 연구도 미진한 상태이다. 최근 미술계에서는 유머나 웃음 코드를 미술작품의 중요한 기제나 내용으로 사용하는 작가나 작품이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관찰되는데, 이는 사회적인 상황이나 분위기에도 영향을 받지만, ‘포스트모던’ 이후에 대두된 장르간 경계의 해체나 융합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미술 작품 속의 유머나 웃음은 다양한 양상으로 존재하지만 연구자는 특히 웃음이 가지고 있는 위선적인 권력을 조롱하는 탈-권위적 기능, 경계를 넘나드는 초월성, 그리고 자조적인 웃음으로 모순된 현실로부터 탈출하려는 속성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조사와 사례연구를 통해 주제에 부합되는 국내외 작가를 선별한 후, 사회풍자, 미술풍자, 유희성 등의 기준으로 분류를 시도하는 한편, 국내외에서 개최되었던 미술 기획전 중에서 이 주제를 다룬 사례를 조사함으로써 동시대 미술에서 ‘웃음’이라는 담론이 점차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시대 상황 속에서 유의미한 작가와 작품에 주목하였으며, 그들이 부조리한 세상에 던지는 통찰력 있는 웃음의 내용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제시된 작가와 작품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시대 미술의 유머는 탈-권위, 현실의 초월, 현실의 모순에 대한 돌파구, 그리고 사회에 대한 통찰력 있는 비판으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국 미술계에서 유머나 풍자는 검열의 대상이 되거나 저급한 것으로 취급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작금의 정치, 사회, 문화적 상황에서 웃음이 미술에 풍부하게 등장할 수 있는 토양은 충분히 마련되었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가 유용한 자료,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희망하며, 앞으로 사려 깊은 웃음이 내포된 좋은 작품들이 더 많이 생산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examines the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humor in contemporary art, based on a historical overview of relevant cases. Despite laughter and humor being some of the most basic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cases of humor in fine art are relatively rare, and research on this subject is also limited.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trend of artists using humor or laughter-inducing codes as important mechanisms or contents in their works. While humor and laughter exist in artworks in diverse ways, this study focuses on humor’s post-authoritarian function of ridiculing hypocritical power, its transcendent nature of traversing borders, and its nature of wanting to escape from contradictory reality through self-mocking laughter. The study attempts to find such qualities through case studies of artists from Korea and overseas, and through a survey of art exhibitions dealing with themes of humor or laughter in recent years, it demonstrates how the discourse of humor has continuously existed and increased in time. Among the diverse aspects of humor in contemporary art, this study focuses on the artists and works that gain significance in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aims to illuminate the contents of such insightful laughter the artists direct toward the irrational world. In the Korean art scene, humorous or satirical art has experienced political censorship or has been considered low-brow at times. But in a situation where countless contradictions and problems are being exposed throughout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and at a point in time referred to some as the ‘end of seriousness,’ there is sufficient reason and conditions for critical and thoughtful humor to appear in the art with abundance.
Author Kim Jeimin
김제민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제민
– sequence: 2
  fullname: Kim Jeimi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6756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zrtKA0EUBuBBIhhjSiubbSxEdt2ZM5edMiZRg8GAph_2MiPLaiK7WKQL2AgGtJEoJuADCFoo-EzJ-g4uJlj9B87Hf846KvX6PY3QJnYdKoike8dn-42ag6UDjlhBZSIw2ExKKKEyZtKzPQ5sDVWzLA5cSgUIQWUZ7c7vn_O7yXw0tObv3_ntaz59svKXm3w6yscP1uxz-PM4sfLxx-zrbQOtGv8i09VlVlD3oNmtH9ntzmGrXmvbiUeLm0SEhAZGF18Rzxc8oq6JjIgCTShwHhoG2pgA6xALPywWwo-MZjyUXDKjoYJ2FrW91KgkjFXfj__yvK-SVNVOuy0FgmEXu4XdXtrrNL7UUeyrq2Lw04E66TSaGHsAjEDhthYuibPsnwDHFBiHX73iaZs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ACYCR
DOI 10.47294/KSBDA.19.3.7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동시대 미술의 웃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umor in Contemporary Art
DocumentTitle_FL A Study on Humor in Contemporary Art
EISSN 2713-5993
EndPage 101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3751010
NODE11833523
3614356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ID FETCH-LOGICAL-k843-527c24bfe72928a76d40fdf7dbe24366cf53effb1ec17acf7d7adfe56c9695fe3
ISSN 1598-8635
IngestDate Tue Nov 21 21:21:56 EST 2023
Thu Mar 13 19:39:47 EDT 2025
Tue Aug 13 02:12:05 EDT 2024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3
Keywords 유머
사려깊은 웃음
Wit
동시대
Thoughtful laughter
풍자
Contemporary
Satire
위트
Humor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43-527c24bfe72928a76d40fdf7dbe24366cf53effb1ec17acf7d7adfe56c9695fe3
Note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40&idx=1072
PageCount 1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3751010
nurimedia_primary_NODE11833523
kiss_primary_361435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8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8-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18
  text: 2018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Year 2018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기초조형학회
SSID ssib044737749
ssib001148679
ssib009282594
Score 1.6700456
Snippet 이 연구는 미술에 나타난 웃음과 유머의 사례를 살펴보고 역사적 고찰을 토대로 동시대 미술에 사용되는 ‘웃음’의 기능과 의미를 조명해 보기 위한 것이다. ‘웃음’과...
SourceID nrf
nurimedia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85
SubjectTerms Contemporary
Humor
Satire
Thoughtful laughter
Wit
동시대
사려깊은 웃음
예술일반
위트
유머
풍자
Title 동시대 미술의 웃음에 관한 연구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614356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3352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67565
Volume 19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기초조형학연구, 2018, 19(3), 87, pp.85-101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713-5993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7749
  issn: 1598-8635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b9Mw1CrjABcEGojyMUUIn6qUJrYT-5i0qcamjQNF2i1KnARtFS0q7YUDmsQFiUlwQQOxSfwAJDiAxK_gh6zhP_DspGmEQDAu6ctz_PzsZ_m959rvIXQ7jiTlNuUmiyk1qfqTkDuMmE7CYuJwmWU63dvWtrP-gG7ssJ1G43vt1NJsGrfl09_eK_kfqQIO5KpuyZ5CshVRQAAM8oUnSBie_yRjHPiY97EQOOhi7mPR1RiAOy0FeX3sc13GsddRgOhhwVsagg9JiYIaCnCxUPU87FN1ACKAbxnQbJWFfkeXMVyGa9xbMOGpVnxNX9XULXqWxqjmFJWSlvgDKZC4RgjdblcxW_RF9aALRvDm7qPWRqoykC22LsqdCosvjtWVc6tie9FC75QMAuDBiNRXa8FhahXxTtqpxtngdZtMFGkXqyVe1KYyqa3XnNU0v1Vsq_yqVCj4HxSmwuZ9v-e1LdEmbXepPaszjdv3egF4a-oOGzmDztqgZVQqka1nwdI8tXR8w-pdqIvDy_WQUpeANS50iN-yZ0VYWM3CnToDYEGAg_EELKLRBAypc6OZygYBS0rNOhpcRBdKt8bwijl6CTWG41XUmr96l788mh_sG_NP3_IXH_Ljt0b-_nl-fJAfvjZOvuz_eHNk5IefT75-vIwG_WDQXTfL5BzmkFMYYduVNo2zFDizeeQ6Ce1kSeYmcWpT4jgyYyTNsthKpeVGEgrcKMlS5kjhCJal5ApaGY1H6VVkSAaFKbGIKwVNQR_IpBMltgRdHVkisZtoVXU1fFyEXwmJo2x8p4luQdfDodwNVYh09ftwHA4nITiCd0PiKmXTaaK1amQqAnVJXfvbB9fR-eVcvoFWppNZehPs0Gm8poX7EzVFZvk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F%99%EC%8B%9C%EB%8C%80+%EB%AF%B8%EC%88%A0%EC%9D%98+%EC%9B%83%EC%9D%8C%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rft.jtitle=%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C%97%B0%EA%B5%AC&rft.au=%EA%B9%80%EC%A0%9C%EB%AF%BC%28Kim+Jeimin%29&rft.date=2018-06-30&rft.pub=%ED%95%9C%EA%B5%AD%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D%9A%8C&rft.issn=1598-8635&rft.eissn=2713-5993&rft.volume=19&rft.issue=3&rft.spage=85&rft.epage=101&rft_id=info:doi/10.47294%2FKSBDA.19.3.7&rft.externalDocID=NODE1183352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63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