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대 미술의 웃음에 관한 연구

이 연구는 미술에 나타난 웃음과 유머의 사례를 살펴보고 역사적 고찰을 토대로 동시대 미술에 사용되는 ‘웃음’의 기능과 의미를 조명해 보기 위한 것이다. ‘웃음’과 ‘유머’는 가장 원초적인 인간의 속성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유독 미술의 영역에서는 알려진 사례도 적고 연구도 미진한 상태이다. 최근 미술계에서는 유머나 웃음 코드를 미술작품의 중요한 기제나 내용으로 사용하는 작가나 작품이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관찰되는데, 이는 사회적인 상황이나 분위기에도 영향을 받지만, ‘포스트모던’ 이후에 대두된 장르간 경계의 해체나 융합과도 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19; no. 3; pp. 85 - 101
Main Authors 김제민, Kim Jeim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0.06.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19.3.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미술에 나타난 웃음과 유머의 사례를 살펴보고 역사적 고찰을 토대로 동시대 미술에 사용되는 ‘웃음’의 기능과 의미를 조명해 보기 위한 것이다. ‘웃음’과 ‘유머’는 가장 원초적인 인간의 속성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유독 미술의 영역에서는 알려진 사례도 적고 연구도 미진한 상태이다. 최근 미술계에서는 유머나 웃음 코드를 미술작품의 중요한 기제나 내용으로 사용하는 작가나 작품이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관찰되는데, 이는 사회적인 상황이나 분위기에도 영향을 받지만, ‘포스트모던’ 이후에 대두된 장르간 경계의 해체나 융합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미술 작품 속의 유머나 웃음은 다양한 양상으로 존재하지만 연구자는 특히 웃음이 가지고 있는 위선적인 권력을 조롱하는 탈-권위적 기능, 경계를 넘나드는 초월성, 그리고 자조적인 웃음으로 모순된 현실로부터 탈출하려는 속성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조사와 사례연구를 통해 주제에 부합되는 국내외 작가를 선별한 후, 사회풍자, 미술풍자, 유희성 등의 기준으로 분류를 시도하는 한편, 국내외에서 개최되었던 미술 기획전 중에서 이 주제를 다룬 사례를 조사함으로써 동시대 미술에서 ‘웃음’이라는 담론이 점차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시대 상황 속에서 유의미한 작가와 작품에 주목하였으며, 그들이 부조리한 세상에 던지는 통찰력 있는 웃음의 내용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제시된 작가와 작품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시대 미술의 유머는 탈-권위, 현실의 초월, 현실의 모순에 대한 돌파구, 그리고 사회에 대한 통찰력 있는 비판으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국 미술계에서 유머나 풍자는 검열의 대상이 되거나 저급한 것으로 취급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작금의 정치, 사회, 문화적 상황에서 웃음이 미술에 풍부하게 등장할 수 있는 토양은 충분히 마련되었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가 유용한 자료,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희망하며, 앞으로 사려 깊은 웃음이 내포된 좋은 작품들이 더 많이 생산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examines the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humor in contemporary art, based on a historical overview of relevant cases. Despite laughter and humor being some of the most basic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cases of humor in fine art are relatively rare, and research on this subject is also limited.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trend of artists using humor or laughter-inducing codes as important mechanisms or contents in their works. While humor and laughter exist in artworks in diverse ways, this study focuses on humor’s post-authoritarian function of ridiculing hypocritical power, its transcendent nature of traversing borders, and its nature of wanting to escape from contradictory reality through self-mocking laughter. The study attempts to find such qualities through case studies of artists from Korea and overseas, and through a survey of art exhibitions dealing with themes of humor or laughter in recent years, it demonstrates how the discourse of humor has continuously existed and increased in time. Among the diverse aspects of humor in contemporary art, this study focuses on the artists and works that gain significance in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aims to illuminate the contents of such insightful laughter the artists direct toward the irrational world. In the Korean art scene, humorous or satirical art has experienced political censorship or has been considered low-brow at times. But in a situation where countless contradictions and problems are being exposed throughout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and at a point in time referred to some as the ‘end of seriousness,’ there is sufficient reason and conditions for critical and thoughtful humor to appear in the art with abundance.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40&idx=1072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1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