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움(Empty Image)의 시각적 상징화를 위한 역량기반 융합 디자인교육 개발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며 시각디자이너 직무의 창의력 증진을 위하여 비움의 인문학을 접목한 융합디자인 교과목 개발을 목적으로 교육프로세스와 교육모형을 개발하고 성취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기준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범위는 S대학의 4C형(창의,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협업) 인재 양성 교육에 준거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교육과정 교과목 개발에 한정한다. 연구 방법은 통합적 미래역량을 교육하기 위하여 시각디자이너를 위한 역량기반의 융합교육에 준하여 교육모델 개발과 평가기준을 개발한다. 따라서 교육모델의 세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2; no. 5; pp. 1 - 12
Main Authors 강소영, Kang, So Young, 이하나, Lee¸ Ha N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10.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2.5.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의 목적은 21세기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며 시각디자이너 직무의 창의력 증진을 위하여 비움의 인문학을 접목한 융합디자인 교과목 개발을 목적으로 교육프로세스와 교육모형을 개발하고 성취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기준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범위는 S대학의 4C형(창의,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협업) 인재 양성 교육에 준거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교육과정 교과목 개발에 한정한다. 연구 방법은 통합적 미래역량을 교육하기 위하여 시각디자이너를 위한 역량기반의 융합교육에 준하여 교육모델 개발과 평가기준을 개발한다. 따라서 교육모델의 세부 내용은 교과목 목표, 교과목 내용, 강의계획서, 교육모형 개발이며 성취수준 평가를 위한 평가기준의 세부연구 내용은 비움을 활용한 융합디자인 교육모델의 역량 지표 개발로 능력단위 요소와 수행준거를 개발한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화하는 패러다임에 대응하며 21세기 인재양성을 위하여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차별화된 핵심역량에 기반한 다양한 융합디자인 교과목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융합 교육을 위해 기존 전공 수업 중심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학제적 융합디자인 교과목 교육 모델을 개발하여 현 환경의 패러다임에 대응하고 전공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인문과 융합한 디자인 교육 모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교과목개발이 디자인 융합교육 개발의 사례가 되어 다양한 융합교육 교과목 개발시 보탬이 되고자 한다. 인문학과 결합한 수업으로 디자인에서 인문학적 철학의 개념과 비움의 조형적 디자인을 접목하여 디자이너의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학습모델을 설계하여 프로젝트 기반학습(PBL)을 경험함으로써 21세기형 인재에 부합하는 디자이너를 양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셋째, 개발한 교과목의 이해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능력단위 요소와 수행준거를 개발 하였다. 취업 시스템 고도화 등의 특화된 교육으로 새로운 창조산업의 디자인서비스와 콘텐츠를 목적과 용도에 맞게 디자인하고 구현할 수 있는 융합디자인 교과목의 개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능력단위 요소와 수행준거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ducational processes and educational models in order to evaluate achievement levels by developing convergence design courses incorporating the humanities of emptiness to enhance the creativity of visual designer jobs in the 21st century.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in accordance with the training of human resources in type 4C (creative,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of S University. The research methods develops educational models and capabilities in accordance with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competency for visual designers in order to educate integrated future capabilities. Therefore, the details of the education model are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objectives, curriculum contents, lecture plans, and educational model. And the detailed research of the capability indicator for evaluating the level of achievement is the development of the capability unit elements and performance criteria.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convergence design subjects based on differentiated core competencies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responding to changing paradigms and fostering talent in the 21st century. Therefore, for converg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overcome existing major-oriented limitations, develop a multidisciplinary convergence design curriculum model to respond to the paradigm of the current environment, and provide a design education model that is integrated with humanities. Second, this curriculum development is an example of design convergence education development and aims to help develop various convergence education curriculum. In a class combined with humanities, we intend to contribute by fostering designers who are suitable for 21st century talent needs through designing a learning model that can broaden the scope of designer’s thinking by combining the concept of philosophy of humanities and the formative design of emptiness. Third, the ability unit elements and performance criteria were developed to verify th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ed subjects. Through specialized education such as upgrading the employment system, the ability unit elements and performance criteria can be used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developing convergence design subjects that can design and implement design services and contents of new creative industries according to purpose.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65&idx=1964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