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틴 함유 나노리포좀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용해도가 낮은 수용성 활성물질인 바이오틴(biotin)의 안정화 및 용해도 증가를 목적으로 나노리포좀을 활용하였다. 이번 실험을 통해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의 안정성에 pH가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H 상승이 바이오틴 활성에 튼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타사이저(zetasizer)로 입자크기, 제타전위(zeta potential) 및 다분산지수(polydispersity index)를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입자크기는 평균 100 ∼ 250 nm, 제타전위 -80 ∼ -30 m...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大韓化粧品學會誌 Vol. 46; no. 2; pp. 133 - 145
Main Authors 양성준, Seong Jun Yang, 김태양, Tae Yang Kim, 이춘몽, Chun Mong Lee, 이광식, Kwang Sik Lee, 윤경섭, Kyung-sup Y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화장품학회 30.06.2020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587
2288-9507
DOI10.15230/SCSK.2020.46.2.13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용해도가 낮은 수용성 활성물질인 바이오틴(biotin)의 안정화 및 용해도 증가를 목적으로 나노리포좀을 활용하였다. 이번 실험을 통해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의 안정성에 pH가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H 상승이 바이오틴 활성에 튼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타사이저(zetasizer)로 입자크기, 제타전위(zeta potential) 및 다분산지수(polydispersity index)를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입자크기는 평균 100 ∼ 250 nm, 제타전위 -80 ∼ -30 mV로 나노리포좀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바이오틴 나노리포좀 내의 바이오틴 캡슐화율(capsulation efficiency)을 측정하기 위해 dialysis membrane method (DMM)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알지닌을 첨가시킨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이 일반 바이오틴 나노리포좀보다 캡슐화율이 5 배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의 경피흡수율을 측정하기 위해 in vitro franz diffusion cell method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cryogenic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cryo - TEM)을 통해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이 잘 형성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모발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소개된 바이오틴을 약물전달체(drug delivery carrier)인 나노리포좀에 캡슐화시켜 기존의 낮은 용해도 및 석출되는 문제를 보완한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을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utilized nano-liposomes for the purpose of stabilizing and increasing the solubility of biotin, a water-soluble active material with low solubility. The particle size, zeta potential, and polydispersity index were confirmed with a nano zetasizer. It was possible to manufacture nano liposomes at 100 to 250 nm of particle size and -80 to -30 mV of zeta potential. Dialysis membrane method (DMM) was used to measure the capsulation efficiency of biotin in biotin nano-liposomes, and results showed that pH increased biotin nano-liposomes had higher capsulation efficiency than normal biotin nano-liposome. Through this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pH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stability of biotin nano-liposomes. In vitro franz diffusion cell method was used to measure in vitro skin absorption rate of biotin nano-liposomes. The shape of the formulation and biotin solubility in nano-liposome was observed by cryogenic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cryo-TEM).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biotin, which is introduced as closely related to hair health, can be incorporated into a nano-liposome drug delivery system, to make biotin nano-liposome with improved solubility and precipitation problems.
Bibliography: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019962558978
ISSN:1226-2587
2288-9507
DOI:10.15230/SCSK.2020.46.2.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