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옹량(熊亮)의 그림책 <和風一起散步>(바람과 함께 산책해요)의 ‘선(禪) 사상’ 표현 방법 연구 - 퍼스의 삼분법적 의미작용을 중심으로
중국의 대표적인 그림책 작가인 시옹량(熊亮, Xiong Liang) 문인화와 수묵화의 특징을 계승하면서, 선사상을 중심으로 작가의 정신세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림책에서 동양의 표현 양식을 통해 동양사상의 구현 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전통의 현대적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시옹량(熊亮, Xiong Liang)의 <和風一起散步>(바람과 함께 산책해요)에서 선 사상을 표현하는 방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퍼스의 삼분법적 의미 작용을 바탕으로 시옹량의 그림책<和風一起散步>...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3; no. 2; pp. 1 - 16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3.2.1 |
Cover
Summary: | 중국의 대표적인 그림책 작가인 시옹량(熊亮, Xiong Liang) 문인화와 수묵화의 특징을 계승하면서, 선사상을 중심으로 작가의 정신세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림책에서 동양의 표현 양식을 통해 동양사상의 구현 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전통의 현대적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시옹량(熊亮, Xiong Liang)의 <和風一起散步>(바람과 함께 산책해요)에서 선 사상을 표현하는 방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퍼스의 삼분법적 의미 작용을 바탕으로 시옹량의 그림책<和風一起散步>을 대상으로 기호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기존 연구를 통해 퍼스의 기호학은 글과 그림으로 이루어진 그림책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어 효과적이라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선 사상의 영향을 받아 동양 회화에서는 표현 대상을 단순화하고 작가가 인식한 대상을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방식으로 발전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분석한 시옹량의 그림책 <和風一起散步>은 표상체에서 일러스트레이션에서는 대상을 단순화하고, 작가의 의지에 따라 사물의 크기, 모양, 위치에 변화를 주면서 대상을 통해 작가의 정서와 정신세계를 표현하고 있으며, 서사 체계에서는 바람의 이기적인 욕심으로 인해 파괴되는 삶의 터전과 자연스러움을 통해 안정을 되찾는 과정을 대비하고 있다. 대상체는 삼원법을 활용하여 작가와 독자의 심리적 공간을 제공하면서 다의적 의미 해석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해석체의 경우 ‘무위자연’을 바탕으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작가의 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시옹량의 그림책 <和風一起散步>을 분석한 결과 작가의 정신세계를 표현하는 데 있어 동양회화의 표현 방식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그림만으로 내포된 의미를 명확히 파악할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앞으로 그림책에서 동양 사상과 동양 회화를 기반으로 한 표현 방식을 구현하는 데 있어 다양성을 확장하고 체계화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Xiong Liang, a representative picture book writer in China, inherits a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and ink-and-wash paintings, revealing the artist’s spirit centering on Zen philosophy. In picture books,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Orientalism through the Eastern expression style is necessary in terms of modern inheritance of traditio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thod of expressing Zen ideas in Xiong Liang’s < Walk with the Wind >. The research method is a semiotic analysis of Xiong Liang’s picture book < Walk with the Wind > based on the triadic model of semiosis of Peirce. Through literature reviews it has been confirmed that Peirce’s semiotics are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picture books composed of text and pictures. It can be seen that in oriental paintings influenced by Zen philosophy, it developed in a way that focuses on simplifying objects and expressing objects recognized by the author. Xiong Liang’s Picturebook < Walk with The Wind > simplifies the object in illustration in ‘representment’. It expresses Xiong Liang’s emotions and spirit through objects while changing the size, shape and position of objects according to his will. The narrative compares the place of life destroyed by the selfish greed of the wind and the process of regaining stability through naturalness. The ‘Interpreter’ reflects the artist’s consciousnes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based on “Muwi-jayeon”. Through analysis of Xiong Liang’s Picture Book < Walk with The Wind >,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method of oriental painting can be effective in expressing the artist’s spirit such as thought and emotion.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meaning of a sentence cannot be clearly grasped through illustration. Therefore, attempts to expand and systematize diversity are needed in implementing expression methods based on oriental philosophy and oriental paintings in picture books.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68&idx=2102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