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션그래픽 로고의 감성 요소와 인지의 연관성 연구 -감성어휘 분석을 중심으로
오늘날 디지털 미디어는 인터랙션이 크게 강화되었고, 디자인 분야에서 인본주의적 특징이 광범위하게 사용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체험과 감성 교류를 더욱 중시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현재 인터넷에서 폭넓게 전파된 모션그래픽 로고에 대해 조휘(2019)의 5개 디자인 방법을 토대로 분석하여 모션그래픽 로고의 감성 표현 형식과 모션그래픽 로고에 대한 감성 인식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요인을 고찰하였다. 서론 부분에서는 많은 논문과 서적 연구를 통해 본 논문의 배경, 목적, 연구 방법 등을 서술하였다. 본론 부분에서는 모션그래픽 로고에 대한 역사...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2; no. 2; pp. 247 - 260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2.2.18 |
Cover
Summary: | 오늘날 디지털 미디어는 인터랙션이 크게 강화되었고, 디자인 분야에서 인본주의적 특징이 광범위하게 사용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체험과 감성 교류를 더욱 중시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현재 인터넷에서 폭넓게 전파된 모션그래픽 로고에 대해 조휘(2019)의 5개 디자인 방법을 토대로 분석하여 모션그래픽 로고의 감성 표현 형식과 모션그래픽 로고에 대한 감성 인식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요인을 고찰하였다. 서론 부분에서는 많은 논문과 서적 연구를 통해 본 논문의 배경, 목적, 연구 방법 등을 서술하였다. 본론 부분에서는 모션그래픽 로고에 대한 역사적 발전, 구성 요소, 특징 등의 측면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도날드 아서 노먼의 감성디자인 기본 구성 요소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노먼의 감성디자인에 대한 세 가지 기초 논리(본능, 행동, 반사)에 따른 감성을 정리한 후 시각, 청각, 동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모션그래픽 로고의 감성 요소 각각 본능적 차원의 변화, 행동적 인터랙션, 반사적 브랜드 인식과 공감 등을 추출하였다. 그 후 SD 분석법으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른 사람들의 감성 감지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 설문지 평가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공통 요인을 추출하여 사람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감성 요인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 요인은 행동적 주체성이었고, 두 번째 요인은 반사적 독특성이었으며, 이 두 가지 공통 요인은 설문조사 결과 데이터의 61%를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요인분석법과 어의 분별 척도법에 따라 종합적으로 볼 때, 감지력은 좋지만 실제 영향력은 낮은 감성요인에 대해 최적의 개선방법을 제시하지 못한 점은 이 논문의 한계점 이다.
Today, digital media has greatly strengthened interaction, and humanistic feature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design field, making many people place more importance to experience and emotional exchanges.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widely propagated motion graphic logos on the Internet based on Cho Hui (2019)'s five design methods to consider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emotional representation format of motion graphic logos and the emotional recognition of motion graphic logos. In the introduction section, many papers and book studies have described the background, purpose, and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In the main part, we theoretically describe aspects of historical developments, components, features, etc. for the motion graphic logo, and describe Donald Arthur Norman's basic components of emotional design. We also summarize the three basic logic of Norman's emotional design (natural, behavior, and reflection) and then extract the emotional elements of the motion graphic logo comprehensively in terms of vision, hearing, and dynamics, respectively, instinctive dimensions, behavioral interaction, reflective brand recognition and empathy. We then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s emotional detection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with the SD analysis method, and extract common factors through factor analysis on questionnaire evaluation items to derive the most influential emotional factors for people. As a result, the first factor was behavioral self-reliance, the second factor was reflective Uniqueness, and these two common factors can interpret 61% of the data in the survey results. And, comprehensively,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method and the language's discernment scale method,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s that it fails to present optimal improvement methods for emotion factors with good sense and with low actual influence.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59&idx=1846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2.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