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 신호원을 이용한 위성항법 기만 검출기법 모의

GPS P(Y) 코드와 같은 암호화 항법 신호원은 재생이 불가능하므로 기만에 강건하다. 하지만 암호화 신호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위성항법시스템 운용국가로부터 허가를 얻어야 하고 이용에 있어서도 상당한 제약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고이득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는 지상 기준국과 일반 위성항법 사용자를 모의하였다. 지상 기준국은 특정 항법위성에 대한 고이득 신호로부터 해당 위성이 방송하는 암호화 신호 코드를 복조하였다. 복조된 암호화 신호코드는 사용자 수신기 모의 데이터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기만여부를 판단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항행학회논문지 Vol. 20; no. 5; pp. 394 - 400
Main Authors 소형민, Hyoungmin S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항행학회 31.10.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9026
2288-842X
DOI10.12673/jant.2016.20.5.39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GPS P(Y) 코드와 같은 암호화 항법 신호원은 재생이 불가능하므로 기만에 강건하다. 하지만 암호화 신호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위성항법시스템 운용국가로부터 허가를 얻어야 하고 이용에 있어서도 상당한 제약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고이득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는 지상 기준국과 일반 위성항법 사용자를 모의하였다. 지상 기준국은 특정 항법위성에 대한 고이득 신호로부터 해당 위성이 방송하는 암호화 신호 코드를 복조하였다. 복조된 암호화 신호코드는 사용자 수신기 모의 데이터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기만여부를 판단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는 기만검출 기법을 제안하고 GPS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모의분석 결과를 다룬다. It is well known that the encrypted ranging signal, such as GPS P(Y) code, is immune to spoofing attack. However, in order for users to use the signal, there needs permission from the operator. And also there are many restrictions for use because of security issues. In this paper, a ground reference station equipped with high-gain directional antenna and a user receiver were simulated. In the reference station, the encrypted code can be demodulated from the high-gain signal. And then the code can be used to detect spoofing attack in the user receiver. This paper proposes the spoofing detection method using the encrypted signal and deals with simulation results.
Bibliography:THE KOREA NAVIGATION INSTITUTE
KISTI1.1003/JNL.JAKO201632747975025
http://dx.doi.org/10.12673/jant.2016.20.5.394
G704-001706.2016.20.5.009
ISSN:1226-9026
2288-842X
DOI:10.12673/jant.2016.20.5.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