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AUT 모델에 기초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수용 의도에 관한 연구-스마트 의류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기술수용이론모델 (UTAUT)을 바탕으로 스마트 의류 사용자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의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스마트 의류를 시장에 보급하기 위한 제언과 새로운 제품 디자인과 소비자차별화 전략 및 기업 홍보, 마케팅 등에 필요한 이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설문 조사를 통해 265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수집하고 SPSS와 AMO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 기대, 노력 기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1; no. 2; pp. 311 - 327
Main Authors 진우강, Chen Yu Gang, 이성원, Lee Sung W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1.2.2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기술수용이론모델 (UTAUT)을 바탕으로 스마트 의류 사용자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의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스마트 의류를 시장에 보급하기 위한 제언과 새로운 제품 디자인과 소비자차별화 전략 및 기업 홍보, 마케팅 등에 필요한 이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설문 조사를 통해 265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수집하고 SPSS와 AMO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 기대, 노력 기대, 가격 감지와 패션 감지는 스마트 의류 사용자의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고 사회적 영향은 스마트 의류 사용자의 수용 의도에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왔다. 둘째, 사용 경험은 부(-)의 조절 효과가 있다. 현재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웨어러블 제품은 세대교체 속도가 빠르고 사용주기가 짧으며 브랜드 충성도가 높지 않아 사용자가 웨어러블 신제품 수용 의도가 강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셋째, 실증분석에서 UTAUT 모델 주요 요소의 대부분 검증되었으며 스마트 의류가 신기술 제품으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징에 부합하여 사용자에게 어느 정도 매력이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넷째, 스마트 의류의 성과 기대, 노력 기대, 가격 감지와 패션 감지는 사용자의 보편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생산 업체는 제품의 기능성과 패션 감을 결합하는 데에 주목하고 사용자 체험을 통해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판매자 처지에서 보면 소비자들은 웨어러블 제품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기업은 이를 위해 제품 홍보와 마케팅을 하고, 또한, 사용자체험을 향상하여, 사용자 스스로 웨어러블 제품을 찾고 소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nd relationships that affect users1 acceptance intentions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clothing users based on the Integrated Technology Acceptance Theory Model (UTAUT).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o advise on the popularization of smart clothing products towards the market based on the investigation results, and provide theory reference for product design creation, users orientation, corporate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y. The survey collected 265 valid questionnaires and empirically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statistics program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expectation, effort expectation, price sensing, and fashion sensing were found to influence the acceptance intention of smart clothing users, and the social impact was not found to be the acceptance intention of smart clothing users. Second, the experience of use has a negative control effect. The wearable products currently distributed in the market have a fast generational replacement rate, a short cycle of use, and low brand loyalty, so users are not likely to accept new wearable products. Third, most of the major elements of the UTAUT model have been verified in the empirical analysis, and explain that smart clothing is a new technology product and is somewhat attractive to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arable device. Fourth, the performance expectation, effort expectation, price sensing and fashion sensing of smart clothing are receiving universal attention from users. It is important for producers to pay attention to combining the functionality and fashion of the product and to improve it through user experience. In terms of sellers, consumers lack awareness of wearable products. To do this, companies must promote and market their products, and also improve their user experience so that users can find and consume wearable products themselves.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52&idx=1544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