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비유 기야르(Labille-Guiard)와 비제 르 브룅(Vigee-Le Brun)의 초상화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

18세기에 프랑스를 중심으로 계몽사상의 발전과 함께 미술의 무대가 궁전에서 귀족과 상류층 시민의 사교생활과 저택으로 확장되었다. `살롱`을 통해 여성 중심의 감각적인 예술이 주류를 이루었고, 점차 여성의 지위가 높아지면서 공식적인 여성 예술가들이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라비유 기야르(Labille-Guiard)와 비제 르 브룅(Vigee-Le Brun)은 최초의 프랑스 왕립 회화·조각 아카데미의 정식 여성 회원이었으며 궁정후원을 받는 화가였다. 그러나 나폴레옹 시대의 도래로 당시 유행했던 귀족 예술과 여성들의 권리가 주춤해짐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18; no. 2; pp. 381 - 393
Main Authors 윤민주, Yun Min Ju, 정금희, Jung Kum H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18세기에 프랑스를 중심으로 계몽사상의 발전과 함께 미술의 무대가 궁전에서 귀족과 상류층 시민의 사교생활과 저택으로 확장되었다. `살롱`을 통해 여성 중심의 감각적인 예술이 주류를 이루었고, 점차 여성의 지위가 높아지면서 공식적인 여성 예술가들이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라비유 기야르(Labille-Guiard)와 비제 르 브룅(Vigee-Le Brun)은 최초의 프랑스 왕립 회화·조각 아카데미의 정식 여성 회원이었으며 궁정후원을 받는 화가였다. 그러나 나폴레옹 시대의 도래로 당시 유행했던 귀족 예술과 여성들의 권리가 주춤해짐과 동시에 여성이라는 이유로 외면당했고 미술사에서도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당시 여성의 역할은 남성 화가들의 모델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그들은 스스로 `객체`가 아닌 `주체`가 됨으로써 `주체적 자아`와 `모성`, 그리고 `귀족적 이미지`를 작품 주제로 뚜렷이 드러냈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새로운 `여성성`을 구현해내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지만, 여성으로서의 사회적 한계와 범주안에서 창조적 주체로서 자아상과 여성상을 구현했다. 또한 혁명 이후 여성 화가들의 진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선구적인 발자취를 남겼다. 이 논문은 두 화가의 초상화 분석을 통해 그들이 추구한 `여성성`은 어떤 것이었는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배경이 되었던 18세기 귀족 사회의 도덕관과 정서를 유추하는 가운데 선구적 여성 화가로서 두 화가를 재조명 하고자 한다. 그들의 초상화는 시대에 따른 `여성의 역할`과 `문화적 변화`를 뚜렷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당대 사회문화의 보편적 이념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18세기 여성의 지위 및 권리를 비롯한 시대적 특성을 지닌 역사적 자료로서 그 가치를 밝히는데 의의가 있다. With the Enlightenment in full swing the art scene quickly expanded from the royal palace to the homes and inner social circles of the aristocracy in mid 18th century France. Amidst this social change women artists became identified through the Salons (in particular, Academie de Saint-Luc`s Salon) as legitimate practitioners even as their status within society became more recognised. Among these, Adelaide Labille-Guiard and her contemporary Elisabeth Vigee-Lebrunwere the first women to be accepted into the Academie Royale de Peinture et de Sculpture and receive support from the royal palace. However, with Napoleon`s reign this rise in social status and recognition faltered and was altogether ignored by the political upheaval as well as later historians of art. The role of the woman in art was relegated to that of object or model, for male artists to express into art. However, these two artists took the role of artist not as object but as subject dealing with such themes as independent identity, motherhood and the aristocracy in their work. Although these artists did not succeed in establishing a new sense of femininity in the art world they did set a new standard of the female image as a creative identity in an otherwise limited social environment. Also, it can be said that they were pioneers in the development of women artists before and after the revolution. This paper looks into the portrait work done by these two artists and analysis what it meant to be a woman in those time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ocial and cultural landscape of 18th century European aristocracy and how these women artists were torchbearers in that period of history. Their portrait work show the `role of women` and `cultural change` as well as the ideology of that era. In addition, this paper seeks to show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woman and her role in 18th century Europe in the same context.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33&idx=766
G704-001069.2017.18.2.010
ISSN:1598-8635
2713-5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