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수역 환경의 균류 다양성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수 환경의 물과 토양에서 균류의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해 을숙도, 금강하구둑, 순천만습지, 대호방조제, 신두리사구 및 부남방조제 총 6지점의 현장조사 및 시료를 채집하였다. 현장에서 여과한 담수시료와 담수퇴적물로부터 곰팡이를 순수분리하여 PDA배지에 접종한 후 25℃에서 배양하였다. 기수역 시료에서 순수분리된 균주는 총 173균주로 ITS 부분을 분석하여 속 수준으로 동정하였다. 분리 동정된 균주를 다양성 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리된 균류는 Pleosporales, Eurotiales, Capnodiale...
Saved in:
Published in | Hangug gynnhaghoi ji Vol. 48; no. 4; pp. 457 - 473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균학회
31.12.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253-651X 2383-5249 |
DOI | 10.4489/KJM.20200044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수 환경의 물과 토양에서 균류의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해 을숙도, 금강하구둑, 순천만습지, 대호방조제, 신두리사구 및 부남방조제 총 6지점의 현장조사 및 시료를 채집하였다. 현장에서 여과한 담수시료와 담수퇴적물로부터 곰팡이를 순수분리하여 PDA배지에 접종한 후 25℃에서 배양하였다. 기수역 시료에서 순수분리된 균주는 총 173균주로 ITS 부분을 분석하여 속 수준으로 동정하였다. 분리 동정된 균주를 다양성 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리된 균류는 Pleosporales, Eurotiales, Capnodiales, Hypocreales, Polyporales, Saccharomycetales, Agaricales, Glomerellales, Mucorales, Dothideales, Russulales, Xylariales, Sordariales, Myrmecridiales, Tubeufiales, Onygenales, Cantharellales, Amphisphaeriales 목에 속하며Cladosporium속이 20%로 가장 우점하며, 그 다음은Penicillium (19%), Fusarium (5%)의 순서로 많이 분포하였다. Sarocladium kiliense NNIBRFG3280와Fusicolla merismoides NNIBRFG23708를 국내 기수환경에서 발굴하였으며, 이를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fungi in brackish water and soil from the Eulsukdo Island, Geumgang Estuary Bank, Suncheon Bay, Dae-ho Tide Embankment and coastal sand dune in Sinduri and Bu-nam Tide Embankment, Korea. Fungi were isolated from water samples by hand-pumped filtration, an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and diluted. The isolated fungi were incubated in potato dextrose agar at 25°C. A total of 173 fung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brackish water and identified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via phylogenetic analysis. The diversity of all fungal strains was analyzed according to diversity indices. The fungal strains belonged to any of 18 taxonomic orders: Pleosporales, Eurotiales, Capnodiales, Hypocreales, Polyporales, Saccharomycetales, Agaricales, Glomerellales, Mucorales, Dothideales, Russulales, Xylariales, Sordariales, Myrmecridiales, Tubeufiales, Onygenales, Cantharellales, and Amphisphaeriales. Cladosporium spp. (20%), Penicillium spp. (19%), and Fusarium sp. (5%) comprised majority of the identified strains. Two species from the fungal isolates were newly identified in Korea: Sarocladium kiliense NNIBRFG3280 and Fusicolla merismoides NNIBRFG23708. |
---|---|
Bibliography: |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KISTI1.1003/JNL.JAKO202008848920512 |
ISSN: | 0253-651X 2383-5249 |
DOI: | 10.4489/KJM.202000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