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공자전거 공유시스템(PBSS)의 시공간적 이용 패턴 분석 - 서울시 여의도동을 중심으로
세계적으로 공공자전거 공유시스템(PBSS) 및 프로그램(PBSP)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정책과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오늘날 PBSS가 일상생활에서 밀접하게 이용되면서 다양한 현상과 수요가 발생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통근통학에 초점을 맞춘 정책과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PBSS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서 서울시 여의도를 대상으로 2018년도 한 해 동안 발생한 PBSS 이용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용 패턴을 유형화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PBSS 자료를 기반으로 주중/주말 이용률에 따...
Saved in:
| Published in | 한국조경학회지 Vol. 48; no. 1; pp. 1 - 14 |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조경학회
28.02.2020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5-1755 2288-9566 |
Cover
| Summary: | 세계적으로 공공자전거 공유시스템(PBSS) 및 프로그램(PBSP)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정책과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오늘날 PBSS가 일상생활에서 밀접하게 이용되면서 다양한 현상과 수요가 발생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통근통학에 초점을 맞춘 정책과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PBSS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서 서울시 여의도를 대상으로 2018년도 한 해 동안 발생한 PBSS 이용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용 패턴을 유형화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PBSS 자료를 기반으로 주중/주말 이용률에 따라 대여소를 3개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여의도의 PBSS는 이용량의 경우에는 서울시 전체에서 4.3%, 대여소 개소수의 경우에는 2%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중 이용률이 높은 대여소는 다른 유형에 비하여 사계절 모두 높은 이용률을 보였으며, 업무 및 주거지역에 주로 분포하였다. 주말 이용률이 높은 대여소의 경우에는 봄(4~5월)과 가을(9~10월)에 집중된 이용 패턴이 나타났으며, 대여소에서 공원입구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중 이용률이 높은 패턴에 비해서 동일한 대여소를 통해 대여 및 반납이 이루어진 경우가 많고, 특정 대여소에 PBSS 이용이 집중된 쏠림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획일적인 PBSS 운영보다는 대여소별로 다양한 이용수요와 현상을 반영한 PBSS의 관리와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PBSS 이용에 대한 수요를 유형에 따라 시공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PBSS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Various policies and studies regarding use of PBSS (Public Bike Sharing System) and Programs (PBSP) have been conducted worldwide as the number systems or programs has increased. Although various phenomena and demands have been generated by the use of PBSS in everyday life, the majority of research and the policies in South Korea have been implemented focused on commuting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various PBSS demands using PBSS usage data in 2018 in the Yeouido districts through classifying usage patterns and analyzing features. The rental statio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based on weekday/weekend usage rates. The usage of Yeouido’s PBSS accounted for 4.3% of the total usage in Seoul Metropolitan City, while the number of PBSS rental stations accounted for 2% of all rental stations in the Seoul urban areas. Rental stations with a higher weekday utilization rates showed high utilization rates in all four seasons and were mainly distributed in work and residential areas. Other stations showed a concentrated usage pattern in spring (April-May) and autumn (September-October) seasons, and their locations were close to the entrance of nearby parks. Besides, renting and returning were often concentrated at certain rental stations for high weekend utilization as compared to the pattern of high weekday usage. Therefore, PBSS management and programs should be operated to reflect various usage demands rather than uniform PBSS opera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PBSS operation by monitoring the demand for PBSS usage in spatio-temporal terms. |
|---|---|
| Bibliography: | Korean l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ISTI1.1003/JNL.JAKO202011863235943 |
| ISSN: | 1225-1755 2288-95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