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엘 스캔과 펜타캠을 이용한 전안부 계측값의 비교
목적: AL-Scan(R) (Nidek, GAMAGORI, Japan)과 Pentacam(R) (Oculus, Wetzlar, Germany)을 이용한 전안부 계측값을 비교함으로써AL-Scan(R)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굴절교정수술을 목적으로 방문한 환자 73명(117안)을 대상으로 하여, AL-Scan(R)과 Pentacam(R)으로 각각 전방 깊이, 각막직경, 중심부 각막 두께, 각막 굴절률을 측정하고 그 측정치를 비교하였다. 결과: AL-Scan(R)과 Pentacam(R)으로 전안부 계측을 시행한...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5; no. 6; pp. 801 - 808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6.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목적: AL-Scan(R) (Nidek, GAMAGORI, Japan)과 Pentacam(R) (Oculus, Wetzlar, Germany)을 이용한 전안부 계측값을 비교함으로써AL-Scan(R)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굴절교정수술을 목적으로 방문한 환자 73명(117안)을 대상으로 하여, AL-Scan(R)과 Pentacam(R)으로 각각 전방 깊이, 각막직경, 중심부 각막 두께, 각막 굴절률을 측정하고 그 측정치를 비교하였다. 결과: AL-Scan(R)과 Pentacam(R)으로 전안부 계측을 시행한 결과, 전방 깊이(p<0.001), 중심부 각막 두께(p<0.001), 2.4 mm 구역 각막굴절률(p=0.038)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각막 직경(p=0.348), 3.3 mm 구역 각막 굴절률(p=0.429)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강한 양의 선형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1). Bland-Altman plot으로 나타낸두 기기 간 일치도에서, 전방 깊이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결론: AL-Scan(R)은 한 번의 측정으로 안축장,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및 전안부 계측까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임상에서 사용 시 편리하다. 하지만 Pentacam(R)과 비교했을 때 일부 전안부 계측 값의 차이가 있는 항목이 있어, 전안부 측정 시에 다른 각막 측정계들과상호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vailability of AL-Scan(R) (Nidek, GAMAGORI, Japan) by comparing anterior segment parametersmeasured with AL-Scan(R) and Pentacam(R) (Oculus, Wetzlar, Germany). Methods: Seventy-three patients (117 eyes) who received refractive surgery at our hospital were tested with AL-Scan(R) andPentacam(R). We compared measurements including anterior chamber depth, central corneal thickness, white-to-white, and cornealcurvature. Results: When comparing measurements obtained with AL-Scan(R) and Pentacam(R), the anterior chamber depth (p < 0.001), centralcorneal thickness (p < 0.001) and 2.4 mm zone K value (p = 0.038)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white-to-white (p =0.348) and 3.3 mm zone K value (p = 0.429)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ll AL-Scan(R) and Pentacam(R) parameters had astrong positive linear correlation (p < 0.001). The Bland-Altman plots showed a high degree of agreement between AL-Scan(R)and Pentacam(R) in all parameters except for anterior chamber depth. Conclusions: AL-Scan(R) is convenient to use clinically because simultaneous measurements of ocular biometry including axiallength, intraocular lens power, and topography are possible. However, because differences in some anterior segment parameters exist when compared with Pentacam(R), measurements with AL-Scan(R) may require comparisons with other instruments.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4.55.6.001 http://dx.doi.org/10.3341/jkos.2014.55.6.801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