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화칼슘 처리농도가 가로변 지피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가로변 지피식물을 중심으로 염화칼슘에 대한 내성과 피해양상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가로변 지피식물적용 및 관리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실험구 조성은 염화칼슘 비율 대조구, 0.5%, 1.0%, 3.0%로 구분하여 일반상토 500g을 기준으로 고상처리 하였다. 식물재료로는 가로수 지피식물로 가능성이 있거나 사용되는 수호초, 옥잠화, 마삭줄, 순비기나무, 사철나무, 작살나무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정리하면 토양은 염화칼슘 농도처리에 따라 산도가 증가하였으먀, 정기전도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치환성 칼슘 함량은 처리 이후...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조경학회지 Vol. 41; no. 4; pp. 17 - 23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조경학회
31.08.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1755 2288-9566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가로변 지피식물을 중심으로 염화칼슘에 대한 내성과 피해양상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가로변 지피식물적용 및 관리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실험구 조성은 염화칼슘 비율 대조구, 0.5%, 1.0%, 3.0%로 구분하여 일반상토 500g을 기준으로 고상처리 하였다. 식물재료로는 가로수 지피식물로 가능성이 있거나 사용되는 수호초, 옥잠화, 마삭줄, 순비기나무, 사철나무, 작살나무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정리하면 토양은 염화칼슘 농도처리에 따라 산도가 증가하였으먀, 정기전도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치환성 칼슘 함량은 처리 이후 증가하였으나 실험기간 중 감소하였다. 수호초, 마삭줄, 사철나무는 염화칼슘 비율 0.5%까지 생육 및 생존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옥잠화, 순비기나무는 1.0%까지 생존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옥잠화는 식재 기반의 수분을 통한 염류의 이동이 가능한 조건에서 가로변의 지피식재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되었다. 작살나무는 대조구를 제외한 염화칼슘 처리구에서 생육이 불량하고 개엽하지 않아 염화칼슘에 대한 민감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on management and apply it to a roadside ground cover plant understanding the capacity of calcium chloride in the plant.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the ratio control group of calcium chloride, 0.5%, 1.0%, and 3.0% in 500g of soil. Plant materials were selected and measured according to their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ground cover plant, Pachysandra terminalis, Hosta plantaginea, Trachelospermum asiaticum, Vitex rotundifolia, Euonymus joponica and Callicarpa japonica. The acidity of the amended soil was increased gradually depending on the treatment and conductivity was continually decreased. The EX-Ca increased after the treatment, but decreased in the middle of the experiment. Pachysandra terminalis, Trachelospermum asiaticum and Euonymus japonica were able to grow and survive at the ratio of 0.5%. Hosta plantaginea and Vitex rotundifolia were able to survive at the ratio of 1,0%. Hosta plantaginea, the possible state can absorb salts due to moisture and, can be applied to ground cover plants in the roadsid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allicarpa japonica was poor and the leaves were open to grow for calcium chloride treatment except the control group. It was concluded that Callicarpa japonica was very sensitive to calcium chloride. |
---|---|
Bibliography: | Korean l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ISTI1.1003/JNL.JAKO201333651336577 G704-000407.2013.41.4.001 |
ISSN: | 1225-1755 2288-95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