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눈물관 부분 폐쇄에서 누낭조영술로 계측한 해부학적 구조와 실리콘관 삽입술 성공률의 상관관계
목적: 눈물흘림을 호소하는 코눈물관의 불완전폐쇄 환자에서 코눈물관의 내경과 실리콘관삽입술의 성공률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눈물흘림 증상이 있고 코눈물관의 불완전 폐쇄로 실리콘관삽입술을 시행한 환자 80명에 누낭조영술을 시행하여 전후좌우 폭을 측정하였고, 술 후 코눈물관의 평균 전후좌우 폭 및 길이를 비교해보았다. 결과: 증상이 있고 코눈물관 협착이 있는 쪽의 코눈물관 평균 길이는 11.7±0.1 mm, 좌우폭은 1.0±0.2 mm, 전후 폭은 1.1±0.1 mm였다. 술 후 성공한 군에서 증상이 있는 쪽 코눈물관의...
Saved in:
|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0; no. 4; pp. 491 - 496 |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30.04.2009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 Summary: | 목적: 눈물흘림을 호소하는 코눈물관의 불완전폐쇄 환자에서 코눈물관의 내경과 실리콘관삽입술의 성공률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눈물흘림 증상이 있고 코눈물관의 불완전 폐쇄로 실리콘관삽입술을 시행한 환자 80명에 누낭조영술을 시행하여 전후좌우 폭을 측정하였고, 술 후 코눈물관의 평균 전후좌우 폭 및 길이를 비교해보았다. 결과: 증상이 있고 코눈물관 협착이 있는 쪽의 코눈물관 평균 길이는 11.7±0.1 mm, 좌우폭은 1.0±0.2 mm, 전후 폭은 1.1±0.1 mm였다. 술 후 성공한 군에서 증상이 있는 쪽 코눈물관의 전후 폭은 1.1±0.1 mm였으며 실패한 군은 증상이 있는 쪽 0.9±0.1 mm였고, 증상이 없는 쪽에 비해 증상이 있는 쪽이 성공한 군에서 평균 18.1±7.0%, 실패한 군은 평균 34%±3.6%의 협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코눈물관 협착으로 인해 눈물흘림 증상이 있는 경우 코눈물관의 전후 폭 평균이 1.1±0.1 mm 이상의 경우 성공률이 높았고 증상이 없는 쪽에 비해 8.1±7.0% 이하의 협착에서 실리콘관 삽입술 후 성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술 전 성공률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09;50(4):491-496>
Purpose: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diameter of the nasolacrimal duct and the success rate of silicone tube intubation in incomplete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patients with epiphora. Methods: Dacryocystography was performed 80 patients with symptoms of epiphora and the anteroposterior (AP) diameters and the lateral diameters of the nasolacrimal ducts were measured. These measureme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 of patients who demonstrated improvement after the operation, and the group without symptom improvement. Results: The mean length of the nasolacrimal duct in the group with nasolacrimal stenosis was 11.7±0.1 mm, the mean lateral diameter was 1.0±0.2 mm, and the mean AP diameter was 1.1±0.1 mm. The AP diameter of the symptomatic nasolacrimal duct in the group with successful postoperative results was 1.1±0.1 mm, and 0.9±0.1 mm in the group with unsuccessful results. The group with successful postoperative results had an average of 18.1±7.0% stenosis in the side of the eye with nasolacrimal duct stenosis compared with the asymptomatic side, and the group with unsuccessful postoperative results had an average of 34%±3.6% stenosis. Conclusions: In cases with nasolacrimal duct stenosis, the success rate of silicone tube intubation was high when the AP diameter of the nasolacrimal duct was more than 1.1±0.1 mm and when the stenosis was less than 18.1±7.0% in the symptomatic side compared with the opposite sid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predict the success rates when preoperatively planning silicone tube intub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09;50(4):491-496 |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9.50.4.004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