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와거짓종양으로 오인된 상안검에 발생한 근육속혈관종 1예
목적: 상안검에 안와거짓종양으로 오인된 근육속혈관종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특이병력 없는 43세 남자 환자가 3개월 전부터 시작된 좌안 상안검 부종을 주소로 타원에서 안와거짓종양 의증 진단하에 경구스테로이드를 5주 복용하였으나 호전이 없어 본원 안과에 내원하였다. 안와 전산화단층촬영상에서 좌측 상안검의 경계가 불분명한 조영증강이 보여 안와거짓종양 의심하 4주간 경구스테로이드 및 병변내 스테로이드주입술 시행하였으나 증상 호전이 없어 절개생검을 시행하였다. 결과: 조직검사 결과 근섬유다발 사이로 혈관들이 관...
Saved in:
|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3; no. 11; pp. 1680 - 1684 |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11.2012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 Summary: | 목적: 상안검에 안와거짓종양으로 오인된 근육속혈관종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특이병력 없는 43세 남자 환자가 3개월 전부터 시작된 좌안 상안검 부종을 주소로 타원에서 안와거짓종양 의증 진단하에 경구스테로이드를 5주 복용하였으나 호전이 없어 본원 안과에 내원하였다. 안와 전산화단층촬영상에서 좌측 상안검의 경계가 불분명한 조영증강이 보여 안와거짓종양 의심하 4주간 경구스테로이드 및 병변내 스테로이드주입술 시행하였으나 증상 호전이 없어 절개생검을 시행하였다. 결과: 조직검사 결과 근섬유다발 사이로 혈관들이 관찰되어 근육속혈관종에 부합하는 조직소견을 보였다. 결론: 두경부의 근육속혈관종은 드문 양성종양으로 종괴가 아닌 미만성 부종의 형태로도 나타날 수 있어 안와거짓종양으로 오인될수 있다.
Purpose: We report a case of intramuscular hemangioma (IMH) in upper eyelid-misdiagnosed as pseudotumor-along with its pathologic findings. Case summary: A 48-year-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three months of upper eyelid swelling in his left eye of no symptom relief with oral corticosteroid for 5 weeks.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show diffuse enhancement in left upper eyelid suggested for pseudotumor and retreated with oral corticosteroids and intralesional corticosteroid injections. However, lid inflammation was not improved. The patient underwent incisional biopsy. Conclusions: Microscopically, the lesion was composed of proliferating vessels of various sizes between the individual muscle fibers. Intramuscular hemangioma that is rarely presented benign tumor in the head and neck region can be presented by diffuse swelling mimicking the pseudotumor rather than a palpable mass. |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2.53.11.029 http://dx.doi.org/10.3341/jkos.2012.53.11.1680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