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각막두께와 녹내장성 손상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목적: 녹내장안에서 중심각막두께와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시신경유두지표 및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시야 검사지표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개방각녹내장 151안과 녹내장의증 135안에 대해서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시신경유두지표, 망막신경 섬유층 두께, 시야검사의 지표들과 중심각막두께와의 상관성을 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안에서는 안압(p<0.001), 시야검사 평균편차(p=0.005), 녹내장의증군에서 나이 (p=0.017)와 안압(p=0.003),...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3; no. 7; pp. 1002 - 1010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7.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DOI | 10.3341/jkos.2012.53.7.1002 |
Cover
Summary: | 목적: 녹내장안에서 중심각막두께와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시신경유두지표 및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시야 검사지표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개방각녹내장 151안과 녹내장의증 135안에 대해서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시신경유두지표, 망막신경 섬유층 두께, 시야검사의 지표들과 중심각막두께와의 상관성을 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안에서는 안압(p<0.001), 시야검사 평균편차(p=0.005), 녹내장의증군에서 나이 (p=0.017)와 안압(p=0.003), 녹내장군에서는 안압(p=0.002), 및 하측 망막신경섬유층 두께(p=0.017)가 각각 중심각막두께와 유의한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안에서 단변량 분석을 시행했을 때 시신경 유두 지표 중 시신경유두테 면적, 평균 시신경유두함몰비, 수직 시신경유두함몰비가 관련성을 나타내었으나 다변량분석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녹내장 및 녹내장의증군에서 중심각막두께와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시신경유두지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고,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및 시야 지표는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correlations between central corneal thickness (CCT) and optic disc and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parameters determined by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 OCT) and visual field (VF) global indices. Methods: The present study included 151 eyes diagnosed with open-angle glaucoma (OAG) and 135 glaucoma suspect (GS) eyes. The CCT, RNFL thickness, optic disc parameters, and VF global indices were measu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CT and RNFL thickness, optic disc parameters, and VF global indices were assessed by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traocular pressure (IOP, p < 0.001) and VF mean deviation (p = 0.005) in all participants, age (p = 0.017) and IOP (p = 0.003) in the GS group, and IOP (p = 0.002) and inferior RNFL thickness (p = 0.017) in the OAG group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CT. Among the optic disc parameters, rim area, average cup/disc ratio, and vertical cup/disc ratio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CT in all participants in the univariate but not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s: Optic disc parameters obtained by SD OCT were not correlated with CCT in the OAG or GS group, while RNFL thickness and VF mean deviation showed associations.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2.53.7.004 |
ISSN: | 0378-6471 2092-9374 |
DOI: | 10.3341/jkos.2012.53.7.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