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치과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는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4,521명) 노인을 대상으로 Andersen과 Davidson이 제안한 모델15)을 적용하여, 소인성 요인, 가능 요인, 필요요인, 구강건강행태 요인과 치과의료이용의 관계를 파악한 후, 노인들의 치과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소인성, 가능, 필요 요인과 틀니 필요여부에서는 소인성 요인에서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가능 요인에서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틀니의 필요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필요 요인에서 미충족 치과의료를 경...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iwisaeng gwahakoeji Vol. 15; no. 1; pp. 60 - 66
Main Authors 안은숙, Eun Suk Ahn, 황지민, Ji Min Hwang, 신명숙, Myong Suk Sh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치위생과학회 28.02.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478
2233-767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4,521명) 노인을 대상으로 Andersen과 Davidson이 제안한 모델15)을 적용하여, 소인성 요인, 가능 요인, 필요요인, 구강건강행태 요인과 치과의료이용의 관계를 파악한 후, 노인들의 치과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소인성, 가능, 필요 요인과 틀니 필요여부에서는 소인성 요인에서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가능 요인에서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틀니의 필요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필요 요인에서 미충족 치과의료를 경험한 노인 중 39.89%, 저작 불편을 호소한 노인 중 67.79%가 틀니 장착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노인의 치과의료이용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는 Model 1에서 여자가 남자에 비해 1.23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치과의료이용이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과 결혼상태, 교육수준, 민간건강보험 가입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Model 2는 Model 1에서 필요 요인을 보정한 (adjusted) 결과 미충족 치과의료를 경험하지 않은 경우 1.35배, 저작 불편을 호소한 경우 1.34배 치과의료이용을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민간건강보험 가입여부, 미충족 치과의료, 저작 불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구강건강상태를 포함한 Model 3은 연령, 미충족 치과의료경험, 저작 불편 호소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소인성 요인과 가능요인, 필요 요인 등이 노인의 치과의료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노인에 치과의료 이용에 다양한 요인들이 함께 작용하기 때문에 노인의 치과의료 이용의 접근성을 개선함으로써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다면적인 노력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redisposing, enabling, need factors and oral health care factors to the dental utilization in 4,521 senior citizens based on the 5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s for the relationship of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factors to the necessity of denture, higher academic credential and higher income level that were respectively one of predisposing and need factors led to a higher necessity of denture, and the relationship of these facto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o influential factors for their dental utilization in Model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marital status and whether to subscribe to private health insurance or not. In Model 2, the need factors of Model 1 were adjusted. As a result, the respondents who didn``t receive any unsatisfactory dental treatment made 1.35-fold more dental utilization, and the respondents who complained about mastication difficulty made 1.34-fold more dental utiliz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marital status, academic credential, whether to subscribe to private health insurance, unsatisfactory dental treatment experience and mastication difficulty. Age, unsatisfactory dental treatment experience and whether to complain about mastication difficulty or not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dental utilization in Model 3 that involved oral health statu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predisposing factors, the enabling factors and the need factors exerted an influence on the elderly dental utilization. As there are a variety of factors to affect elderly dental utilization, its required to make an effort to boost the accessibility of the elderly to dental service in order to improve their oral health of the elderly.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KISTI1.1003/JNL.JAKO201518564558637
G704-002151.2015.15.1.005
ISSN:1598-4478
2233-7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