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안에서 조절미세파동의 고 진동수 영역 및 조절래그와 조절력의 관계

목적: 노안이 있는 눈에서 조절미세파동의 고 진동수 영역(High-Frequency Component of Accommodation, HFC)과 조절래그 (Accommodative lag)를 측정하여 주관적 조절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안과질환이 없는 50세 이상 40명 80안의 정상안을 대상으로 33 cm 근거리 나안시력과 근거리 교정에 필요한 가입도수를 측정하여 노안을 확인하고, push-up method를 이용한 조절력을 측정하였다. Speedy-i(r)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굴절력, 조절 자극에 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5; no. 11; pp. 1606 - 1612
Main Authors 주락현, Lock Hyun Ju, 이동호, Dong Ho Lee, 이도형, Do Hyung Lee, 김진형, Jin Hyou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11.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노안이 있는 눈에서 조절미세파동의 고 진동수 영역(High-Frequency Component of Accommodation, HFC)과 조절래그 (Accommodative lag)를 측정하여 주관적 조절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안과질환이 없는 50세 이상 40명 80안의 정상안을 대상으로 33 cm 근거리 나안시력과 근거리 교정에 필요한 가입도수를 측정하여 노안을 확인하고, push-up method를 이용한 조절력을 측정하였다. Speedy-i(r)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굴절력, 조절 자극에 따른 미세파동의 고 진동수 영역과 조절래그, 동공크기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각막지형도를 이용하여 각막다초점성과 각막난시를 측정하여 조절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60.0 ± 4.66세(51-68세)였고 남자와 여자의 비율은 1.35:1이었다. HFC 및 동공크기는 조절자극 증가에 따라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조절래그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01 by one-way ANOVA). Push-up method를 이용한 조절력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2.0D 조절자극에서의 조절래그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동공크기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그 외 인자들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노안 연령에서 객관적 지표인 조절래그와 초기 동공크기가 주관적인 조절력을 추정하는 유의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으며 그 외 HFC 및 동공 크기, 각막다초점성도 조절력을 결정하는 단독인자는 아니지만 조절의 동적 관계를 이해하는 데 좋은 인자로 사용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frequency component of accommodative microfluctuation (HFC) and accommodative lag in presbyopic eyes and how they affect the subjective accommodation power with other ophthalmic factors, such as pupil diameter and corneal multifocality. Methods: Forty subjects (80 ey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the non-corrected distance and near visual acuity was measured and then converted to log MAR vision. The addition power for 33 cm near visual work was also measured and the accommodative power was measured by the push-up method. The HFC, accommodative lag and pupil size according to accommodative stimuli (-1.0 to -3.0 D) was measured by Speedy-i Autorefractor (Right Mfg Co., Tokyo). The corneal multifocality and corneal astigmatism was measured by corneal topography (TMS-4; Tomey, Erlangen, Germany). Results: The mean age was 60.0 ± 4.66 years (51-68) and there were 23 male and 17 female subjects (1.35:1). The HFC and pupilsize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according to accommodation demand, however, the accommodative la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p < 0.001 by one-way ANOVA). Accommodative lag (-2.0 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ubjective accommodative power, and the pupil size (0 D)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ubjective accommodative power. Conclusions: In presbyopia patients, the objective accommodative lag and initial pupil siz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accommodative power. On the other hand, HFC, pupil size and corneal multifocality, alone may not be indicators to predict accommodative power, but these are important components to explain the dynamic aspect of accommod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11):1606-1612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http://dx.doi.org/10.3341/jkos.2014.55.11.1606
G704-001025.2014.55.11.012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