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 유도하 경피적 흉부 세침생검 후 발생한 뇌 공기 색전증 1례
CT-guided transthoracic needle biopsy is a common procedure for the evaluation of pulmonary and mediastinal lesions. The most frequent complications include pneumothorax, hemorrhage, and hemoptysis. Air embolism, and especially cerebral embolism, is a rare but potentially fatal complication after th...
Saved in:
| Published i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 57; no. 5; pp. 480 - 483 |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30.11.2004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738-3536 2005-6184 |
Cover
| Summary: | CT-guided transthoracic needle biopsy is a common procedure for the evaluation of pulmonary and mediastinal lesions. The most frequent complications include pneumothorax, hemorrhage, and hemoptysis. Air embolism, and especially cerebral embolism, is a rare but potentially fatal complication after this procedure. Here, we report on a case of cerebral air embolism that occurred after CT-guided transthoracic needle biopsy for the peripheral lung mass. 경피적 세침생검은 폐 및 종격동 질환이 있을 때 조직을 얻기 위하여 널리 시행되며 비교적 안전한 시술이다. 하지만 때로 치명적인 합병증이 생길 수도 있는데 저자들이 보고한 뇌공기 색전증도 그 중의 하나이다. 뇌 공기 색전증은 여러 가지 진단적 혹은 치료적 시술과 관련되어 발생할 수 있는 드물지만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경피적 흉부 세침생검 시에도 발생할 수 있어, 시술 도중이나 후 갑작스런 신경학적 혹은 심혈관 이상 증상이 나타날 때는 공기 색전증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며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고압 산소 요법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경피적 흉부 세침생검 후에 발생한 뇌 공기 색전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
| Bibliography: | 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KISTI1.1003/JNL.JAKO200430939759519 G704-000421.2004.57.5.001 |
| ISSN: | 1738-3536 2005-61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