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 착용 후 호전된 간헐성 외사시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

목적: 간헐성 외사시 환자에서 안경 착용으로 사시각의 호전을 보인 경우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3년부터 2010년까지 본원에서 안경 착용 후 외사시가 호전된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시력, 굴절이상, 사시 유병기간, 안경 착용 기간, 근거리와 원거리에서의 사시각, 입체시, 융합기능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교정 전 시력은 우안 평균 0.34 ± 0.27, 좌안 평균 0.37 ± 0.27이었으며, 굴절 교정 후 우안 평균 0.12 ± 0.11, 좌안 평균 0.11 ± 0.11로 향상되었다. 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3; no. 6; pp. 819 - 824
Main Authors 이재연, Jae Yeun Lee, 하성우, Sung Woo Ha, 유혜린, He Len Lew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6.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12.53.6.81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간헐성 외사시 환자에서 안경 착용으로 사시각의 호전을 보인 경우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3년부터 2010년까지 본원에서 안경 착용 후 외사시가 호전된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시력, 굴절이상, 사시 유병기간, 안경 착용 기간, 근거리와 원거리에서의 사시각, 입체시, 융합기능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교정 전 시력은 우안 평균 0.34 ± 0.27, 좌안 평균 0.37 ± 0.27이었으며, 굴절 교정 후 우안 평균 0.12 ± 0.11, 좌안 평균 0.11 ± 0.11로 향상되었다. 굴절 교정 전사시각은 근거리에서 평균 18.1 ± 7.4PD, 원거리에서 평균 13.5 ± 8.4PD였으며, 굴절 교정 후 근거리에서 평균 5.8 ± 8.6PD, 원거리에서 평균 4.5 ± 7.6PD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 간헐성 외사시 환자에서 굴절 교정으로 외사시 각이 호전된 환자들은 근거리에서의 사시각이 원거리에서보다 더 크고, 융합능력과 입체시가 발달한 특징이 있다. 간헐성 외사시 환자에서 굴절 교정으로 외사시가 호전될 수 있으므로, 외사시 환자에 있어서 안경 교정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ho have experienced decreased exodeviation after refractive error correction. Methods: Thirty-four patients who experienced decreased exodeviation after refractive error correction between 2003 and 2010 were evaluated. Visual acuity, refractive errors, reported age at onset, duration of wearing glasses, stereopsis, and function of fusion were evaluated. Results: The present study included 34 patients with intermittent exotropia. Before correcting refractive errors, the mean visual acuity was 0.34 ± 0.27 for the right eye and 0.37 ± 0.27 for the left eye according to log MAR. After refractive error correction, mean visual acuity improved to 0.12 ± 0.11 for the right eye and 0.11 ± 0.11 for the left eye according to log MAR. Before correcting refractive errors, the amount of deviation was 18.1 ± 7.4 PD at near and 13.5 ± 8.4 PD at far. However, after correcting refractive errors, the amount of deviation decreased to 5.8 ± 8.6 PD at near and 4.5 ± 7.6 PD at far (p < 0.05). Conclusion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have decreased exodeviation after correcting refractive errors is shown by a greater amount of deviation at near than at distance and good fusional vergence and stereoacuity, Because correcting refractive errors by wearing appropriate glasses can decrease exodeviation, the authors of the present study recommend correcting refractive errors as the initial management for exotropia.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2.53.6.017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12.53.6.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