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로 반응하지 않아 섬유주절제술을 시행한 급성 폐쇄각녹내장 환자의 수술성공률 분석

목적: 약물로 안압이 조절되지 않는 급성폐쇄각녹내장의 섬유주절제술의 성공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약물이나 레이저 치료로 안압이 조절되지 않아 수술을 받은 급성폐쇄각녹내장 16안(A군)과 안압이 조절되었다가 다시 상승하여 수술을 받은 급성폐쇄각녹내장 15안(B군)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완전성공은 약물사용 없이 안압이 21 mmHg 이하일 때, 부분성공은 약물사용으로 안압이 21 mmHg 이하일 때, 실패는 약물사용으로도 2회 연속 안압이 22 mmHg 이상, 또는 추가 수술이 필요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5년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0; no. 8; pp. 1242 - 1246
Main Authors 장문희, Mun Hee Chang, 유정권, Chung Kwon Yoo, 김용연, Yong Yeo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8.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약물로 안압이 조절되지 않는 급성폐쇄각녹내장의 섬유주절제술의 성공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약물이나 레이저 치료로 안압이 조절되지 않아 수술을 받은 급성폐쇄각녹내장 16안(A군)과 안압이 조절되었다가 다시 상승하여 수술을 받은 급성폐쇄각녹내장 15안(B군)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완전성공은 약물사용 없이 안압이 21 mmHg 이하일 때, 부분성공은 약물사용으로 안압이 21 mmHg 이하일 때, 실패는 약물사용으로도 2회 연속 안압이 22 mmHg 이상, 또는 추가 수술이 필요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5년간 부분 성공률은 A군 56.3%, B군 100%로 B군이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p=0.02). 수술 직전 안압은 A군 38.0±11.5 mmHg, B군 21.8±12.2 mmHg로 A군이 높았다(p<0.01). 나이, 성별, 주변홍채앞유착 정도, 녹내장성 시신경 변화/시야결손 등의 수술 전 인자와 술 후 합병증은 차이가 없었다. 결론: 급성폐쇄각녹내장에서 섬유주절제술은 약물이나 레이저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안압이 조절되었다가 다시 상승하여 수술을 받은 경우보다 성공률이 낮았고, 수술 직전의 안압이 수술 성공률의 관련 인자로 분석되었다. <대한안과학회지 2009:50(8):1242-1246> Purpose: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rabeculectomy performed on eyes with medically uncontrolled acute angle closure glaucoma (AACG). Methods: The authors reviewed 31 eyes of 30 acute primary angle-closure glaucoma patients who had undergone trabeculectomy. The ey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yes which did not respond to medical and/or laser treatment (Group A, 16 eyes) and those which initially responded to medical and/or laser treatment and later had an intraocular pressure (IOP) increase (Group B, 15 eyes). Complete success was defined as a final IOP below 21 mmHg without medication, and qualified success was defined as a final IOP below 21 mmHg with medication. Patients whose postoperative IOP was 22 mmHg or greater on at least two serial measurements or who required additional glaucoma surgery were classified as failures. Results: The mean follow-up was 43.1±32.3 months. The five-year qualified success rate was 56.3% in Group A and 100% in Group B (log-rank test, p=0.02). The preoperative IO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A (38.0±11.5mmHg) than in Group B (21.8±12.2mmHg) (p<0.01). Factors found not to be significant included age, gender, peripheral anterior synechiae, a glaucomatous optic disc, and visual field damage.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p>0.05). Conclusions: The medically uncontrolled AACG appears to have an adverse effect on the outcome of trabeculectomy. Success of trabeculectomy in AACG seems to be inversely related with elevated preoperative intraocular pressure. J Korean Ophthalmol Soc 2009;50(8):1242-1246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9.50.8.022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