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의 건강관련 라이프스타일과 치주상태와의 관련성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 생활양식과 치주치료필요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제5기(2010,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중 만 19세 이상의 성인 11,488명을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 생활양식에 따른 치주치료필요자를 비교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고, 치주치료필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구강검진을 안 한 사람이 77.2%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치실, 치간칫솔 등의 구강위생용품 사용은 24.9%에 불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iwisaeng gwahakoeji Vol. 15; no. 1; pp. 83 - 89
Main Authors 김진, Jin Kim, 안은숙, Eun Suk Ah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치위생과학회 28.02.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478
2233-767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 생활양식과 치주치료필요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제5기(2010,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중 만 19세 이상의 성인 11,488명을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 생활양식에 따른 치주치료필요자를 비교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고, 치주치료필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구강검진을 안 한 사람이 77.2%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치실, 치간칫솔 등의 구강위생용품 사용은 24.9%에 불과하였다.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생활양식에 따른 치주치료필요 여부 차이를 검증한 결과 읍/면에 거주하는 경우 치주요양필요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0.01), 여성보다 남성에서 치주치료필요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 증가에 따라서 치주치료 필요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1),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 비흡연자의 경우, 칫솔질 횟수가 증가하는 경우,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는 경우, 구강검진을 안 하는 경우 치주치료필요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치주치료필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거주지, 성별, 교육수준, 비만여부, 구강검진 유무 등으로 조사되었다(p<0.01).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볼 때 건강관련 생활양식은 구강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로 생각되며, 전문 치과위생사는 국민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양식을 습관화할 수 있는 실천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제공해줄 필요성이 있다. 또한 몇 가지 건강행위와 인구사회학적 변수로는 설명력이 낮기 때문에 보다 건강과 관련된 위험요인들을 포함한 구강건강생활양식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periodontal treatments, and the association of the health lifestyle with periodontal treatments, the data of 11,488 adults targeted in the 5th (2010, 2012)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used in this study. Chi-squared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subjects’ general features with the health lifestyle of the patients who needed periodontal treatments.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variables that could affect the necessity of periodontal treatment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necessity of periodontal treatments according to the general features and health lifestyle, the necessity decreased with the higher income level and education level, and in the cases of nonsmokers, frequent tooth brushing, and using oral hygiene products. When the subjects who did not had oral examinations, their necessity for periodontal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The variables that affected the necessity of periodontal treatments included residence, gender, education level, obesity, and oral examinations (p<0.01). Therefore, health lifestyle was thought an important variable that had affected the oral health status. Professional dental hygienists must provide people with action programs of health lifestyle to promote the national oral health status.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KISTI1.1003/JNL.JAKO201518564558642
G704-002151.2015.15.1.003
ISSN:1598-4478
2233-7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