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namic Contour Tonometry와 골드만 압평 안압계의 비교
목적: Dynamic contour tonometry(DCT, PASCAL(R))로 측정한 안압과 골드만 압평안압계(GAT)로 측정한 안압을 비교해보고, 중심각막두께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녹내장(135안), 녹내장의증(14안) 및 고안압증(16안)으로 치료 중인 83명 165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막두께 측정은 초음파각막두께측정계로 측정하였다. 결과: DCT로 측정한 안압과 GAT로 측정한 안압 사이에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0.733, p<0.001). GAT로 측정한 안압은 중심각막 두께...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0; no. 2; pp. 242 - 246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2.200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목적: Dynamic contour tonometry(DCT, PASCAL(R))로 측정한 안압과 골드만 압평안압계(GAT)로 측정한 안압을 비교해보고, 중심각막두께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녹내장(135안), 녹내장의증(14안) 및 고안압증(16안)으로 치료 중인 83명 165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막두께 측정은 초음파각막두께측정계로 측정하였다. 결과: DCT로 측정한 안압과 GAT로 측정한 안압 사이에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0.733, p<0.001). GAT로 측정한 안압은 중심각막 두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고(r2=0.145, p<0.001), DCT로 측정한 안압은 중심각막두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r2=0.012, p=0.081), GAT와 DCT로 측정한 안압의 차이는 중심각막두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r2=0.124, p<0.0001). 결론: DCT는 신뢰도 있는 안압 측정 장비인 것으로 사료되며, GAT와는 달리 중심각막두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안압을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09;50(2):242-246>
Purpose: To compare dynamic contour tonometry (DCT) and Goldmann applanation tonometry (GAT) and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entral corneal thickness (CCT) onintraocular pressure. Methods: In a prospective study of 165 eyes with glaucoma (135 eyes), glaucoma suspect (14 eyes), and ocular hypertension 16 eyes), intraocularpressure was measured with DCT and GAT, and followed by measurement of the CCT with ultrasound pachymetry.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using SPSS (Statistical software, ver. 10; SPSS Inc., Chicago, IL). Results: A clear correlation between DCT and GAT was found ( r =0.733, p<0.001). The average intraocular pressure was 14.92±2.28 mmHg with DCT and 13.97±3.12 mmHg with GAT, and the intraocular pressure with DCT was 0.95±2.49 mmHg higher than with GAT. A meaningful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GAT and CCT ( r2=0.145, p<0.001), but was not demonstrated between DCT and CCT ( r2=0.012, p=0.081). In addition, the difference of intraocular pressure between GAT and DCT (GAT-DC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CT ( r2=0.145, p<0.001). Conclusions: DCT appears to be a reliable method for intraocular pressure measurement, which is not influenced by CCT, unlike GAT. J Korean Ophthalmol Soc 2009;50(2):242-246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9.50.2.017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