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날개 제거술: 광범위 절제술 및 자가윤부결막이식술

목적: 원발 및 재발 군날개 환자에서 광범위절제술 후 자가윤부결막이식을 시행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광범위절제술과 함께 자가윤부결막이식을 시행한 후 6개월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원발 군날개 18명 21안과 재발 군날개 18명 18안을 대상으로 합병증 및 재발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후 6개월째, 재발 군날개군 1안(5.6%)에서 공막내 국한된 결막재발이 있었고 미용상 큰 문제가 없어 재수술이 필요하지는 않았으며, 합병증으로는 원발 군날개군에서 창상열개 1안(4.8%), 이식된 결막편하 출혈이 3안(1...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9; no. 2; pp. 205 - 212
Main Authors 곽동엽, Dong Yub Kwak, 배민철, Min Chul Bae, 이진기, Jin Kee Lee, 박대진, Dae Jin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29.02.200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원발 및 재발 군날개 환자에서 광범위절제술 후 자가윤부결막이식을 시행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광범위절제술과 함께 자가윤부결막이식을 시행한 후 6개월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원발 군날개 18명 21안과 재발 군날개 18명 18안을 대상으로 합병증 및 재발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후 6개월째, 재발 군날개군 1안(5.6%)에서 공막내 국한된 결막재발이 있었고 미용상 큰 문제가 없어 재수술이 필요하지는 않았으며, 합병증으로는 원발 군날개군에서 창상열개 1안(4.8%), 이식된 결막편하 출혈이 3안(14.3%), 공여부위의 결막하 섬유화가 1안(4.8%)에서 관찰되었고 재발 군날개군에서는 이식된 결막편하 출혈이 2안(11.1%), 공여부위에 테논낭의 육아종이 1안(5.6%)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광범위절제술 및 자가윤부결막이식은 원발 및 재발 군날개에서 재발율을 낮출 수 있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수술방법이라고 사료된다. <한안지 49(2):205-212, 2008>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conjunctivo-limbal autograft after wide excision of primary and recurrent pterygia. Methods: Twenty-one eyes of 18 patients with primary pterygium and 18 eyes of 18 patients with recurrent pteygium underwent conjunctivo-limbal autograft after wide excision of pterygium. All patients underwent follow-up for more than six months. Recurrence rates and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Results: With a minimum of six months of follow-up, fibrovascular tissue in the excised area, not invading the cornea, was noted in one eye (5.6%) in the recurrent pterygium group but no further surgical interventions for the cosmetic problem were needed. One eye (4.8%) showed wound dehiscence, three eyes (14.3%) showed subgraft hemorrhage, and one eye (4.8%) showed subconjunctival fibrosis at the donor site in the primary pterygium group, while two eyes (11.1%) showed subgraft hemorrhage, and one eye (5.6%) showed Tenon`s Capsule granuloma at the donor site in the recurrent pterygium group. Conclusions: Conjunctivo-limbal autograft after wide excision of pterygium can be considered an effective treatment with low recurrence rates for both primary and recurrent pterygia. J Korean Ophthalmol Soc 49(2):205-212, 2008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8.49.2.006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