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험을 위한 민박 서비스디자인 연구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문화마을 민박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도시민박업 활성화에 따라 도시재생 지역에서 지역의 문화를 체험하는 체류형 관광을 유도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문화체험 민박서비스 모델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주민을 위한 수익창출을 기대하는 감천문화마을의 민박서비스 디자인을 통해 지역의 문화체험 콘텐츠와 민박서비스가 원활하게 융합되어 방문자들이 숙박을 통해 차별화 된 예술적 문화체험을 하게하는 콘텐츠를 도출한다. 민박서비스 이용자에게 보다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요구와 함께 이용자의 행동 등을 예측하고 이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16; no. 1; pp. 629 - 643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28.02.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도시민박업 활성화에 따라 도시재생 지역에서 지역의 문화를 체험하는 체류형 관광을 유도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문화체험 민박서비스 모델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주민을 위한 수익창출을 기대하는 감천문화마을의 민박서비스 디자인을 통해 지역의 문화체험 콘텐츠와 민박서비스가 원활하게 융합되어 방문자들이 숙박을 통해 차별화 된 예술적 문화체험을 하게하는 콘텐츠를 도출한다. 민박서비스 이용자에게 보다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요구와 함께 이용자의 행동 등을 예측하고 이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주요 이용자를 종합 분석하여 적합한 서비스 시나리오 모델을 도출하기 위해 가상의 이용자 모델인 퍼소나를 기반으로 한 시나리오 디자인을 하였다. 감천문화마을의 현황분석에 따른 민박이용 정황시나리오를 구성하고, 민박서비스의 이해관계자 분석을 통해 민박이용자와 운영자뿐만 아니라 마을의 문화예술 관련자 그룹을 도출하였다. 감천문화마을 방문객 유형분석을 통한 민박서비스 체험 퍼소나를 외국인과 내국인으로 설정하여, 민박서비스와 체험요소가 전달되는 과정을 담은 고객여정맵이 작성되었다. 다음단계로 민박서비스의 문화체험 요소의 주요 경로시나리오를 작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체험 민박서비스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구축하였다. 문화체험 민박서비스의 점검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각 서비스와 관련 이해관계자의 원활한 서비스 흐름을 가시화하기 위해 서비스청사진을 작성하였다. 서비스디자인은 단순히 아름답게 작품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로 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게 하는가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것이다. 감천문화마을의 가장 큰 매력은 마을 특유의 역사와 경관 그리고 조형작품에 의한 문화적 분위기이다. 따라서 민박서비스의 개발은 마을의 문화와 충분히 결합시켜야만 민박을 중심으로 한 문화체험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민박이 자리 잡고 있는 지리적 위치와 결합된 역사생활의 흔적을 발굴하여, 방문자들로 하여금 볼거리, 먹거리, 예술작품 및 마을이야기체험 등 감천의 특별한 분위기를 체험할 수 있게 하여 좋은 마을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proposals put forward an effectual culture experience model of the local culture experience for lodging tourism, that is invigorate from urban home-stay industry depending on urban regeneration local. By the Gamcheon Culture Village``s home-stay service design that is expectant benefit creation for the local residents, local culture experience contents and home-stay service melting together smoothly, sustainable home-stay service contents let satisfaction improve, it is not only for the users and also includes the service provider as local residents. It is important to provide the suitable service from user``s needs and behavior prediction to provide the user a better experience. Thus the main users aggregate analysis, suitable service scenario model derive that oder to scenario design stand on the basis of the imagine user personal model. With the analysis of the Gamcheon Culture Village``s actuality circumstance to constitute the context scenario, through the Stakeholder analysis, users and operators, export the related groups of village``s culture and art. By the type analysis of the Gamcheon Culture Village``s visitor, the home-stay service experience personal was setting as foreign student and domestic employee, make the journey-map pass on the transmit process of the home-stay service and experience element. The next step is make the culture experience home-stay service communication model by the key-path scenario through home-stay service culture experience element. Finally, base of the culture experience home-stay service validation scenario and the related stakeholder of service process flow smoothly , in order to visualization to made the service blueprint. Service design is not only for made a beautiful products, but also is to find and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people how to thinking or behavior. The most attractive point of the Gamcheon Culture Village is the unique cultural atmosphere that is from Village``s history, landscape and arts works. Therefor, develop the home-stay service is building the culture experience system with the centre of home-stay that is must combined regional culture fully. Gamcheon Culture Village``s home-stay pass on the geographical position and related traditional life trace excavate, to create special cultural experience for visitors through the Gamcheon Culture Village``s seeing, eating, arts works and history story etc.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18&idx=71 G704-001069.2015.16.1.019 |
ISSN: | 1598-8635 2713-59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