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기반 디스플레이 유형에 따른 정보디자인 활용방안 제안

최근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와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를 중심으로 기존 사각형의 프레임을 벗어난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발전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하지만 OLED 디스플레이 기반 선행 연구는 대부분 기술기반 연구들로 디스플레이 유형과 형태적 특징에 따라 담겨질 정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정보디자인과 연계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OLED...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17; no. 4; pp. 15 - 27
Main Authors 김건동, Kim Geon D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08.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Cover

Abstract 최근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와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를 중심으로 기존 사각형의 프레임을 벗어난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발전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하지만 OLED 디스플레이 기반 선행 연구는 대부분 기술기반 연구들로 디스플레이 유형과 형태적 특징에 따라 담겨질 정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정보디자인과 연계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OLED 디스플레이 유형에 따른 선행사례를 조사한 후 적합한 정보디자인의 활용방안과 가이드라인을 도출해보고자 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먼저 OLED 디스플레이와 정보디자인의 두 가지 측면에서 선행 연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후 OLED 디스플레이 개발관련 전문가와 UX디자인 전문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13개 분석 대상과 9개 분석 툴의 적정성을 검토 받았으며, 이를 통해 사례 분석과 해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OLED 디스플레이 유형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2개, 투명 디스플레이 12개의총 24개 정보디자인 활용방안을 도출하였으며, 대표 유형 중심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유저테스트를 바탕으로 한 실증적 연구가 아닌 한계점은 있지만 OLED디스플레이와 정보디자인을 연계시킨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전문가 자문을 바탕으로 한 사례분석과 가이드라인 제시를 통해 향 후 OLED 디스플레이 정보디자인의 실무적 활용방안의 초기 기준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opens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various types of display breaking existing rectangle frame focusing on flexible display and transparent display. However, most advanced researches about OLED display are researches based on technology, so researches related to information design about how to provide information efficiently in terms of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hape in display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the utilization methods and guidelines of appropriate information design after investigating advanced cases according to types of OLED display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First of all, advanced researches are analyzed in two aspects such as OLED display and information design. After that, feasibility of 13 analytical subjects and 9 analytical tools is examined by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s in development division and UX design division. Through this, cas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re conducted.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total 24 application methods that consisted of 12 flexible displays and 12 transparent displays of information design are drawn depending on types of OLED display, and a guideline plan of the representative type is suggested. Although,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not an empirical study based on the user test. However it is meaningful for this study to suggest early standard of operational application method of information design of OLED display through case study and guideline based on experts advice.
AbstractList 최근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와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를 중심으로 기존 사각형의 프레임을 벗어난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발전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하지만 OLED 디스플레이 기반 선행 연구는 대부분 기술기반 연구들로 디스플레이 유형과 형태적 특징에 따라 담겨질 정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정보디자인과 연계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OLED 디스플레이 유형에 따른 선행사례를 조사한 후 적합한 정보디자인의 활용방안과 가이드라인을 도출해보고자 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먼저 OLED 디스플레이와 정보디자인의 두 가지 측면에서 선행 연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후 OLED 디스플레이 개발관련 전문가와 UX디자인 전문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13개 분석 대상과 9개 분석 툴의 적정성을 검토 받았으며, 이를 통해 사례 분석과 해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OLED 디스플레이 유형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2개, 투명 디스플레이 12개의총 24개 정보디자인 활용방안을 도출하였으며, 대표 유형 중심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유저테스트를 바탕으로 한 실증적 연구가 아닌 한계점은 있지만 OLED디스플레이와 정보디자인을 연계시킨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전문가 자문을 바탕으로 한 사례분석과 가이드라인 제시를 통해 향 후 OLED 디스플레이 정보디자인의 실무적 활용방안의 초기 기준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opens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various types of display breaking existing rectangle frame focusing on flexible display and transparent display. However, most advanced researches about OLED display are researches based on technology, so researches related to information design about how to provide information efficiently in terms of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hape in display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the utilization methods and guidelines of appropriate information design after investigating advanced cases according to types of OLED display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First of all, advanced researches are analyzed in two aspects such as OLED display and information design. After that, feasibility of 13 analytical subjects and 9 analytical tools is examined by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s in development division and UX design division. Through this, cas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re conducted.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total 24 application methods that consisted of 12 flexible displays and 12 transparent displays of information design are drawn depending on types of OLED display, and a guideline plan of the representative type is suggested. Although,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not an empirical study based on the user test. However it is meaningful for this study to suggest early standard of operational application method of information design of OLED display through case study and guideline based on experts advice.
최근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와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를 중심으로 기존 사각형의 프레임을 벗어난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발전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하지만 OLED 디스플레이 기반 선행 연구는 대부분 기술기반 연구들로 디스플레이 유형과 형태적 특징에 따라 담겨질 정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정보디자인과 연계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OLED 디스플레이 유형에 따른 선행사례를 조사한 후 적합한 정보디자인의 활용방안과 가이드라인을 도출해보고자 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먼저 OLED 디스플레이와 정보디자인의 두 가지 측면에서 선행 연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후 OLED 디스플레이 개발관련 전문가와 UX디자인 전문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13개 분석 대상과 9개 분석 툴의 적정성을 검토 받았으며, 이를 통해 사례 분석과 해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OLED 디스플레이 유형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2개, 투명 디스플레이 12개의총 24개 정보디자인 활용방안을 도출하였으며, 대표 유형 중심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유저테스트를 바탕으로 한 실증적 연구가 아닌 한계점은 있지만 OLED디스플레이와 정보디자인을 연계시킨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전문가 자문을 바탕으로 한 사례분석과 가이드라인 제시를 통해 향 후 OLED 디스플레이 정보디자인의 실무적 활용방안의 초기 기준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opens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various types of display breaking existing rectangle frame focusing on flexible display and transparent display. However, most advanced researches about OLED display are researches based on technology, so researches related to information design about how to provide information efficiently in terms of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hape in display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the utilization methods and guidelines of appropriate information design after investigating advanced cases according to types of OLED display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First of all, advanced researches are analyzed in two aspects such as OLED display and information design. After that, feasibility of 13 analytical subjects and 9 analytical tools is examined by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s in development division and UX design division. Through this, cas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re conducted.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total 24 application methods that consisted of 12 flexible displays and 12 transparent displays of information design are drawn depending on types of OLED display, and a guideline plan of the representative type is suggested. Although,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not an empirical study based on the user test. However it is meaningful for this study to suggest early standard of operational application method of information design of OLED display through case study and guideline based on experts advice. KCI Citation Count: 0
Author Kim Geon Dong
김건동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건동
– sequence: 2
  fullname: Kim Geon Dong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4307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zk1LAkEcBvAhDDLzE3TZS3RamNedmaOolSAthPdh3JdYtjR26dA3kOjQQclCw0MdvC3kwc_Ujt-hKaXT84fnx8P_EFQGw0G0B6qYI-IyKUkFVBGTwhUeYQegnudJH1LKCedUVoHvd9ut73VRFlOnHI_N48dm_FQuRma-csxssZlOzMuzbYryc-2YxaT8Wv2y92czXzub15l5W5bF0kxGtpzZOAL7sb7Jo_oua6B31u41L9yuf95pNrpuKrD9hQsmhIaRhlKHOOC6T6DH-jgiPI4hRp4IOfNCYWGEYxpqgSRjEEqmsRcEpAZOt7ODLFZpkKihTv7yeqjSTDWueh1FECbEypOdvM-S2yhMtLqzh84e1KXfaiMkCIFYWHe8dWmS5_-EUM9jlJIftEp6M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ACYCR
DatabaseName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OLED기반 디스플레이 유형에 따른 정보디자인 활용방안 제안
Suggestion of Utilization Methods of Information Design based on the Types of Usage in OLED Displays
DocumentTitle_FL Suggestion of Utilization Methods of Information Design based on the Types of Usage in OLED Displays
EISSN 2713-5993
EndPage 27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31233
NODE11833028
3466544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ID FETCH-LOGICAL-k828-878588a0ea09ad2c7ab3065b2e37ff02168d756d8878e2f4da819550095a26cc3
ISSN 1598-8635
IngestDate Tue Nov 21 21:39:12 EST 2023
Thu Mar 13 19:39:47 EDT 2025
Tue Aug 13 02:12:05 EDT 2024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Keywords 인터페이스 디자인
Interface Design
정보디자인
인터랙션 디자인
Information Design
Interaction Design
OLED 디스플레이
OLED Display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28-878588a0ea09ad2c7ab3065b2e37ff02168d756d8878e2f4da819550095a26cc3
Note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29&idx=603
G704-001069.2016.17.4.002
PageCount 1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31233
nurimedia_primary_NODE11833028
kiss_primary_346654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608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6-08-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16
  text: 201608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Year 2016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기초조형학회
SSID ssib044737749
ssib001148679
ssib009282594
Score 1.61204
Snippet 최근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와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를 중심으로 기존 사각형의...
SourceID nrf
nurimedia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5
SubjectTerms Information Design
Interaction Design
Interface Design
OLED Display
OLED 디스플레이
예술일반
인터랙션 디자인
인터페이스 디자인
정보디자인
Title OLED기반 디스플레이 유형에 따른 정보디자인 활용방안 제안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466544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3302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43076
Volume 1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기초조형학연구, 2016, 17(4), 76, pp.15-28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713-5993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7749
  issn: 1598-8635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btNAcNX0AFwQqCDCo_IBnypXfqzt3aNjuyqPNpcg9Wb5iaqIBIXkwoFzhTj0kIiCUpQDHHqLRA_5Juz8AzO24xiEBEWK1uPZ2dnJznp3xt6dJeSxyWJKwziUgtjXwUHBZw58NikMqAaDZhKo-S7Xg0Nj_wV9eqQfbTSu1VYtjYbBbvj2j_tK_kergAO94i7ZK2i2YgoIgEG_kIKGIf0nHbefu47oWmKLiS1ZdFuYcraDEKf4c22RWaIFgIO3zMYsSxYZwyzuiC26k0M2YpGIiVzPMabI5RWngrmlQ0U5OdAiFdSnAYdfquMulFsxR2rgyZE_okAUXoqJgI1c2JqlXaHqJnPtD9pYWyG7peSYSmIHU85L0TELSuniOrJkjuC4sAMBpZSb7WEhlT07foWfB3rgUODgx-svQxRj9Xa37L6r2uxVJc4VZXSwKZhdnxA4k5hRhFTZjXOcCo69pPPiZMdqFjFrTwutTQmKXjMuijgIv0X4Pmw7Lvh5mga2XoM0NAVP4jh4567NWiWPi1jdc9xwvB5HKTU1sOJ5Hhq4FBcsDHBA3oDF1BuAoXW9N8LTImDIqVlPnVvkZun2CFbRh2-TjW5_i7Sx__5YzNP5mZCOx9n7r8vxh3R2kp1fCtl0tjybZB9PIWeeflsI2WySfr9Esi-n2flCWH6aZp8v0vlFNjmBzClc7pDOntux96XygA-pC44-TMRMZ8yXY1_mfqSGph-AA6sHaqyZSQLGp8EiUzcimAdZrCY08vGjr45ega8aYajdJZu9fi--R4QkNgJcT2IokUE5NJeWGGHgg_EvyxE3gibZwubwXhchXDyN4qnbtEkEaB6vGx57GGYdry_7XnfggTP5xANFaFqTbFdtVxWva-z-3wgekBvrrvqQbA4Ho_gRWLLDYDtX80928n_9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OLED%EA%B8%B0%EB%B0%98+%EB%94%94%EC%8A%A4%ED%94%8C%EB%A0%88%EC%9D%B4+%EC%9C%A0%ED%98%95%EC%97%90+%EB%94%B0%EB%A5%B8+%EC%A0%95%EB%B3%B4%EB%94%94%EC%9E%90%EC%9D%B8+%ED%99%9C%EC%9A%A9%EB%B0%A9%EC%95%88+%EC%A0%9C%EC%95%88&rft.jtitle=%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C%97%B0%EA%B5%AC&rft.au=%EA%B9%80%EA%B1%B4%EB%8F%99%28Kim+Geon+Dong%29&rft.date=2016-08-31&rft.pub=%ED%95%9C%EA%B5%AD%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D%9A%8C&rft.issn=1598-8635&rft.eissn=2713-5993&rft.volume=17&rft.issue=4&rft.spage=15&rft.epage=27&rft.externalDocID=NODE1183302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63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