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기반 디스플레이 유형에 따른 정보디자인 활용방안 제안
최근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와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를 중심으로 기존 사각형의 프레임을 벗어난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발전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하지만 OLED 디스플레이 기반 선행 연구는 대부분 기술기반 연구들로 디스플레이 유형과 형태적 특징에 따라 담겨질 정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정보디자인과 연계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OLED...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17; no. 4; pp. 15 - 27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1.08.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Cover
Summary: | 최근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와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를 중심으로 기존 사각형의 프레임을 벗어난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발전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하지만 OLED 디스플레이 기반 선행 연구는 대부분 기술기반 연구들로 디스플레이 유형과 형태적 특징에 따라 담겨질 정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정보디자인과 연계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OLED 디스플레이 유형에 따른 선행사례를 조사한 후 적합한 정보디자인의 활용방안과 가이드라인을 도출해보고자 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먼저 OLED 디스플레이와 정보디자인의 두 가지 측면에서 선행 연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후 OLED 디스플레이 개발관련 전문가와 UX디자인 전문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13개 분석 대상과 9개 분석 툴의 적정성을 검토 받았으며, 이를 통해 사례 분석과 해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OLED 디스플레이 유형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2개, 투명 디스플레이 12개의총 24개 정보디자인 활용방안을 도출하였으며, 대표 유형 중심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유저테스트를 바탕으로 한 실증적 연구가 아닌 한계점은 있지만 OLED디스플레이와 정보디자인을 연계시킨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전문가 자문을 바탕으로 한 사례분석과 가이드라인 제시를 통해 향 후 OLED 디스플레이 정보디자인의 실무적 활용방안의 초기 기준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opens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various types of display breaking existing rectangle frame focusing on flexible display and transparent display. However, most advanced researches about OLED display are researches based on technology, so researches related to information design about how to provide information efficiently in terms of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hape in display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the utilization methods and guidelines of appropriate information design after investigating advanced cases according to types of OLED display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First of all, advanced researches are analyzed in two aspects such as OLED display and information design. After that, feasibility of 13 analytical subjects and 9 analytical tools is examined by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s in development division and UX design division. Through this, cas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re conducted.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total 24 application methods that consisted of 12 flexible displays and 12 transparent displays of information design are drawn depending on types of OLED display, and a guideline plan of the representative type is suggested. Although,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not an empirical study based on the user test. However it is meaningful for this study to suggest early standard of operational application method of information design of OLED display through case study and guideline based on experts advice.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29&idx=603 G704-001069.2016.17.4.002 |
ISSN: | 1598-8635 2713-59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