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디자인학과(시각디자인) 대학생 대상 문제중심학습이 교수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 Problem-based learning)에 기초해 구안된 대학 강의에 수강한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 간 교수효과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 방법에 따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설정한 이유는 문제중심학습이 디자인 실무 세계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와 이슈에 대한 학생들의 해결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문제중심학습이 대학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긍정적으로 기여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대학교의 산업디자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17; no. 3; pp. 313 - 323
Main Authors 우경훈, 교수, Kyung Hoon W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0.06.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 Problem-based learning)에 기초해 구안된 대학 강의에 수강한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 간 교수효과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 방법에 따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설정한 이유는 문제중심학습이 디자인 실무 세계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와 이슈에 대한 학생들의 해결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문제중심학습이 대학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긍정적으로 기여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대학교의 산업디자인학과 대학생 109명(실험집단 57명, 통제집단 52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한 뒤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수효과성의 하위요인 5개 요인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이에 따라 문제중심학습이 교육의 공급자 측면에서 유용한 교수 전략이 될 수 있음이 실증되었는데, 이에 기초해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difference in teaching effect between students who attended university lectures designed on the basis of PBL(Problem-Based Learning) and students who did not through statistical methodolog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defined to examine whether PBL w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for various problems and issues occurring in practical design field and to consider whether such PBL would make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achievement of organizational goals set by universities. For that, an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on 109 students majoring in industrial design at universities located at Busan Metropolitan City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57 persons, control group consisting of 52 person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5 factors among sub-factors of teaching effect (p<.01). Thus, it was verified that PBL could be a useful teaching strategy for providers of education, and based on that, implications for deign education were presented.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28&idx=543
G704-001069.2016.17.3.034
ISSN:1598-8635
2713-5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