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수업 활성화 방안 연구 -2014년도 광주,전남지역 중등교사 직무연수 사례를 중심으로
2014 년도 광주ㆍ전남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영상제작 직무연수 사례를 통해 중등교육 영상수업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연수는 순천대학교 영상디자인학과 주관으로 진행되었으며, 시나리오, 촬영, 편집을 체험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위해 청소년의 영상교육 필요성과 청소년 커뮤니케이션 문화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수를 이수한 교사들의 담당과목별 분포도를 살펴보면 영상관련 단원이 개설되어 있는 인문 . 예체능 계열 담당교사의 참여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과목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고른...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16; no. 4; pp. 549 - 559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1.08.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Cover
Summary: | 2014 년도 광주ㆍ전남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영상제작 직무연수 사례를 통해 중등교육 영상수업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연수는 순천대학교 영상디자인학과 주관으로 진행되었으며, 시나리오, 촬영, 편집을 체험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위해 청소년의 영상교육 필요성과 청소년 커뮤니케이션 문화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수를 이수한 교사들의 담당과목별 분포도를 살펴보면 영상관련 단원이 개설되어 있는 인문 . 예체능 계열 담당교사의 참여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과목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고른 분포도를 보여주었다. 이는 향후 중등교육 전반에서 영상관련 단원의 개설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들이 영상물 제작의 팀별 작업과정에서 보여준 능동성, 협의성은 최종 결과물인 영상작품의 높은 완성도를 이루어냈으며, 이러한 체험을 바탕으로 연수를 이수한 교사들은 일선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영상제작 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교사들의 영상언어에 대한 이해와 영상물 제작 체험이 중등교육 현장의 영상수업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계기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 promote the revitalization of classes in the image field of secondary school education the case study of 2014 Kwangju . Jeonnam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training was scrutinized. The job training was held under the supervision of image design department in Sunchon university, and was composed of experiencing scenario writing, filming and edit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communication culture was surveyed in an effort to enhance the necessity of image education, and to suggest an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 The study also focused on the classification of subjects conducted by teachers who took part in the job train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 momentum in enhancing teachers positive interest on utilizing image media in youth education,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echnical capability in dealing with image media.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23&idx=258 G704-001069.2015.16.4.002 |
ISSN: | 1598-8635 2713-59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