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디자인 산업 변화에 따른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방향 연구

미래 사회에는 지금보다 훨씬 더 뛰어난 IT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점차 추세에 맞춰나가는 교육방식으로 변모하고 있다.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일방적인 교육 형태가 더 많아졌다는 것은 쌍방향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말한다. 디자이너라는 직업은 사람들과 의견을 조율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중요시하므로 미래 사회의 변모에 맞춰 교육방식이 현재의 디자인 교육에 자연스럽게 섞여야 할 것이다. 또한 미래 사회에 중요시되는 것 중 하나가 융·복합 교육인데, 이것은 선진국의 디자인 교육에서 이미 실행되고 있으며 융·복합 교육은 디자이너가 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17; no. 4; pp. 241 - 253
Main Authors 오유영, Oh You Young, 박진숙, Park Jin-soo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08.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미래 사회에는 지금보다 훨씬 더 뛰어난 IT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점차 추세에 맞춰나가는 교육방식으로 변모하고 있다.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일방적인 교육 형태가 더 많아졌다는 것은 쌍방향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말한다. 디자이너라는 직업은 사람들과 의견을 조율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중요시하므로 미래 사회의 변모에 맞춰 교육방식이 현재의 디자인 교육에 자연스럽게 섞여야 할 것이다. 또한 미래 사회에 중요시되는 것 중 하나가 융·복합 교육인데, 이것은 선진국의 디자인 교육에서 이미 실행되고 있으며 융·복합 교육은 디자이너가 될 인재들에게 창의성을 길러주고 경쟁력을 길러줌과 동시에 소통의 중요성을 가르치는데 가장 큰 요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미래 디자인 산업의 변화에 맞추어 미래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선방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과 국내외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조사 및 비교 하였다. 선진국들의 디자인 교육 목표의식에 따른 다양한 커리큘럼과 조기교육의 실행, 그리고 학습자들의 자발적인 참여 유도가 국내 디자인 교육과 가장 큰 차이점 이었다. 또한 디자인 교육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의 학습자 설문조사 결과에서 프로그램 진행 시 학습자들이 디자인이나 디자인과 접목 된 타 과목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그룹별 토론을 어려워한다는 점을 발견 했다. 그러나 수업에 흥미가 생기면 만족도와 참여도가 높아지고 자신감이 생겼다는 점을 주목하여, 학습자가 디자인과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를 유발, 성취하고자 하는 동기부여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과목과 디자인의 접목, 포괄적으로 주제를 확장하는 방향으로 개선 시켜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Our current education system is gradually changing in order to follow advanced IT technology of future. However this system not just brings the benefits, but also causes the negative effects at the same time. Generally, online education is one-way teaching, and sometimes lacks in two-ways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instructors. For a designer, it is necessary to have the ability to communicate and share ideas with other people. Therefore, the current education should compensate the defect, one-way teaching, and will have to blend in the advantages of the current design education. Fusion education required in the future society is already being practiced in design education of developed countries. Fusion education supplies promising designers with chances to learn communication skill as well as to develop creativity and competitiveness. In this paper, we study can improve the program for the training of future talent in response to changes in future design industry. First of all, researched about the educational needs of design and compared the educational program of Korea and other countries. Unlike Korea, found out other developed countries not only exercise early-childhood education and various curriculum that are reflected in the educational goal but also encourag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Furthermore, Noticed from other surveys about the design education that the students do not have interests in design itself nor the subjects that are related to design, and they even have problems with rap sessions. However, once the students take on interest, they gain confidence, and the participation rate and the satisfaction rate would increase. From this evidence, I could get to the conclusion that we need to improve our situation with collaboration between design and other subjects and comprehensive extension of the topics in order to arouse their interests and motivation. This will bring mor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G704-001069.2016.17.4.022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29&idx=586
ISSN:1598-8635
2713-5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