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앱 서비스에 특화된 Out of Box Experience 연구

제품/서비스의 전체 사용 경험 주기에서 첫 단계에 해당하는 OOBE (Out of Box Experience)는 제품/서비스의 사용자 인지와 수용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요한 경험 단계이다. OOBE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유형의 물질적인 제품 위주로 진행되었다. 무형의 상품인 모바일 앱 서비스는 물질적 제품과는 수명주기에서 많은 차이가 있고 서비스의 성격과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 행태에서의 변화요인이 다양하여 제품 중심의 기존 OOBE 모형을 모바일 앱 서비스에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앱 서비스 OO...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16; no. 1; pp. 129 - 141
Main Authors 김예슬, Ye Seul Kim, 유재연, Jae Yeon Yoo, 유청보, Cheong Bo Yoo, 한수지, Su Ji Han, 김성우, Sung Wo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28.02.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제품/서비스의 전체 사용 경험 주기에서 첫 단계에 해당하는 OOBE (Out of Box Experience)는 제품/서비스의 사용자 인지와 수용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요한 경험 단계이다. OOBE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유형의 물질적인 제품 위주로 진행되었다. 무형의 상품인 모바일 앱 서비스는 물질적 제품과는 수명주기에서 많은 차이가 있고 서비스의 성격과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 행태에서의 변화요인이 다양하여 제품 중심의 기존 OOBE 모형을 모바일 앱 서비스에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앱 서비스 OOBE의 주요 경험 요소를 규명하고 각 단계를 모바일 앱 서비스에 특화된 OOBE 단계로 커스터마이징 하여 OOBE 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4개의 모바일 앱 서비스를 대상으로 두 가지의 사용자 조사를 시행하고, 사용자 조사로부터 나온 UX 요소를 기존의 OOBE 모형에 대입하여 기존 모형이 수용하지 못하는 경험들을 뽑아내어 기존 OOBE의 한계점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모형을 변형하여 모바일 앱 서비스만의 고유한 경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새로운 OOBE 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OOBE 모형은 “사용자가 서비스를 획득하고 (Acquire), 서비스 사용을 준비하다가(Prepare),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사용하기 시작(First Use)”하는 3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모바일 앱서비스 특성에 따른 준비단계에서의 경험 유형을 세 가지로 정리하여 제시하였고 첫 번째 사용자 조사로부터 나온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각 구간마다 사용자 경험을 만드는 데에 있어서 참조할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정리하였다. OOBE (Out of Box Experience) refers to the very first experience of a product or service. OOBE has a critical impact on user``s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a product or service.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OOBE framework for IT Service by subdividing it into more detail sub-phases and identifying key experience elements of each phase. Many existing research on OOBE focused on tangible products. However IT services, being an intangible product, have many different aspects from tangible products. Therefore OOBE frameworks built for tangible products have limits when applied to IT services. To overcome such limit this research devised a new OOBE framework dedicated to IT service based on existing OOBE frameworks. One of the existing OOBE frameworks we referred to in our research subdivides itself into 3 sub-phases: unpack, setup/configure and first use.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user research on four selected IT services to collect various experience elements shown in users’ first experience and place them into the existing OOBE framework. From our attempt, a number of experience elements from IT service could not smoothly fit into any sub-phase of the existing OOBE framework. A new OOBE framework was created to deal with these elements. Our new framework is composed of three phases: Encounter, Prepare and First Use.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18&idx=107
G704-001069.2015.16.1.036
ISSN:1598-8635
2713-5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