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성 및 알코올성 간질환에서의 장투과성의 변화

목적: 장투과성의 증가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발병 기전과 간경변증 환자의 세균 감염 및 내독소혈증의 발병 유발요인 중에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간질환에서의 장투과성의 변화와 임상 양상과의 관련성은 다양한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러스성 및 알코올 간질환에서 장투과성의 변화 및 임상 양상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여 두 질환군 간의 장관과 연관된 차이점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 대조군 18명, 간경변증이 아닌 알코올성 간질환 17명, 알코올성 간경변증 24명,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14명, 바이러스성...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43; no. 2; pp. 104 - 111
Main Authors 김정욱, Kim Jeong Ug, 전우규, Jeon U Gyu, 윤중원, Yun Jung Won, 박동일, Park Dong Il, 조용균, Jo Yong Gyun, 성인경, Seong In Gyeong, 박창영, Park Chang Yeong, 손정일, Son Jeong Il, 김병익, Kim Byeong Ig, 김은정, Kim Eun Jeong, 신명숙, Sin Myeong S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소화기학회 15.02.200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992
2233-686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장투과성의 증가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발병 기전과 간경변증 환자의 세균 감염 및 내독소혈증의 발병 유발요인 중에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간질환에서의 장투과성의 변화와 임상 양상과의 관련성은 다양한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러스성 및 알코올 간질환에서 장투과성의 변화 및 임상 양상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여 두 질환군 간의 장관과 연관된 차이점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 대조군 18명, 간경변증이 아닌 알코올성 간질환 17명, 알코올성 간경변증 24명,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14명, 바이러스성 간경변증 32명을 대상으로 장투과성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질환별 알코올 섭취량, 문맥압항진, 간성 뇌증의 발생, Child-Pugh 분류, 간기능검사 수치 등의 임상 양상과 연관성을 비교하였다. 장투과성검사는 51Cr-EDTA를 이용하여 24시간 소변에서의 회수율로 측정하였다. 결과: 장투과성은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2.05±57%)에서 건강 대조군 (1.99±53%)보다 차이가 없었으나 바이러스성 간경변증 (3.15±39%, p<0.01)과 간경변증이 아닌 알코올성 간질환 (5.62±80%, p<0.001) 및 알코올성 간경변증 (5.29±48%, p<0.001)에서 증가하였으며 바이러스성 간경변증보다 알코올성 간질환에서 의미 있게 높았다 (p<0.05). 알코올성 간질환에서는 간경변증이 아닌 알코올성 간질환과 간경변증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일일 알코올 섭취량과 장투과성의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간경변증 환자에서 문맥압 항진, 간성 뇌증의 발생, 간기능검사, 흡연량, Child-Pugh 분류 등의 임상 양상과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 알코올성 만성 간질환에서 바이러스성 만성 간질환보다 더 높은 장투과성의 상승 소견을 보이며 간경변증 이전에서 차이를 보이므로, 두 간질환에서 장관손상과 연관된 원인 및 이차적인 병태생리적 기전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Background/Aims: Increased intestinal permeability has been possible contributing factors to the pathogenesis of alcoholic liver disease. Moreover, i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acterial infection and intestinal endotoxemia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intestinal barrier dysfunction between alcoholic and viral liver disease patients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intestinal permeabilities of patients with clinical characteristics. Methods: Intestinal permeabilities were measured in 18 healthy controls, 41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17 cases of alcoholic liver disease without cirrhosis and 24 cases of alcoholic liver cirrhosis) and 46 patients with viral liver disease (14 cases of chronic viral hepatitis and 32 cases of viral liver cirrhosis) by measuring 24 hour urine excretion of 51Cr-EDTA. Results: The intestinal permea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without cirrhosis (5.62±80%), alcoholic liver cirrhosis (5.29±48%) and viral liver cirrhosis (3.15±39%)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 subjects (1.99±53%). On the contrary, it was not increased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viral hepatitis (2.05±57%) versus control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not found between intestinal permeability and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Conclusions: The intestinal permeability was elevated in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compared to those with viral liver cirrhosis. The pathophysiology of liver injury secondary to intestinal epithelial damage may be different between alcoholic and viral liver diseases. (Korean J Gastroenterol 2004; 43:104-111)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G704-000307.2004.43.2.007
ISSN:1598-9992
2233-6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