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산소에 의한 배양 인체 망막색소상피 손상에서 Glucose의 영향
목적 : 인체 망막색소상피세포 배양에서 정형적인 허혈모델을 만드는 것은 쉽지 않으며 아직 증명된 방법이 없다. 허혈모델에서 배양조건의 산소와 glucose 조절은 중요하다. 이에 무산소(anoxia)에 의한 배양 인체 망막색소상피세포 손상에서 배양액의 glucose의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인체 망막색소상피세포를 95%N2/5%CO2와 95%room air/5%CO2 배양의 두 군으로 나누고 0.2 mg/ml에서 2.0 mg/ Purpose : It is difficult to make the standa...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3; no. 4; pp. 764 - 774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30.04.200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
Cover
Summary: | 목적 : 인체 망막색소상피세포 배양에서 정형적인 허혈모델을 만드는 것은 쉽지 않으며 아직 증명된 방법이 없다. 허혈모델에서 배양조건의 산소와 glucose 조절은 중요하다. 이에 무산소(anoxia)에 의한 배양 인체 망막색소상피세포 손상에서 배양액의 glucose의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인체 망막색소상피세포를 95%N2/5%CO2와 95%room air/5%CO2 배양의 두 군으로 나누고 0.2 mg/ml에서 2.0 mg/
Purpose : It is difficult to make the standard ischemic RPE culture model which is still not established. In ischemic model, oxygen and glucose are very important. To improve experimental model, we evaluate the effect of glucose on anoxia-induced human RP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
ISSN: | 0378-6471 |